광주시가 복합문화커뮤니티타운으로 조성하기 위해 공사를 시작한 광주 옛 상무소각장. 정대하 기자
소각장 마련에 비상이 걸린 광주광역시가 주민 반대를 줄일 수 있는 ‘지하 소각장’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26일 광주시와 환경부 설명을 종합하면, 광주시는 하루 600톤의 가연성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2029년까지 지하화 시설로 건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014년 약 3천억원을 투자해 지하엔 소각장을, 지상엔 체육·공원시설을 지어 ‘혐오시설’이란 이미지를 걷어내는 데 성공한 경기도 하남시 사례에서 본뜬 방안이다.
광주시는 오는 7월 소각장 건립 관련 용역 결과를 받은 뒤 입지 선정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미경 광주시 자원시설팀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광주에 소각장을 건립해야 양과동 광역위생매립장 직매립량을 안정적으로 줄일 수 있다. 주민·환경 친화형 소각장을 건립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주시가 소각장 마련에 분주한 이유는 우선 2020년 7월 폐기물관리법령 개정에 따라 소각할 수 있거나 재활용 여지가 있는 생활폐기물의 직매립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이 규제는 수도권은 2026년부터 적용되지만 광주시 등 수도권 외 지역은 2030년부터 시행된다.
그간 광주시는 생활폐기물 중 불에 타는 쓰레기는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에서 고형연료(SRF)로 만들어 인근 전남 나주시의 열병합발전소에 공급했고, 나머지 쓰레기는 광주시 남구 양과동 광역위생매립장에 직매립해왔다. 과거에는 하루 평균 320톤의 가연성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상무소각장도 활용했으나 환경오염 논란이 불거지면서 2016년에 폐쇄한 터라 현재 광주 내 쓰레기 처리 시설은 양과동 매립장과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뿐이다. 전국 특별·광역시 중 소각장이 없는 곳은 광주시가 유일하다.
여기에다 불안정한 나주시로의 고형연료 공급도 앞으로 만들어야 할 소각장 규모를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다. 나주시민들이 환경오염을 우려해 광주로부터의 고형연료 반입에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실제 이런 반발 탓에 고형연료 공급이 2018년 1월부터 2022년 3월까지 4년 남짓 중단된 바 있다. 광주시 쪽은 “고형연료 공급이 되지 않는다면 양과동 매립지 사용 연한(2068년 5월)이 최대 30여년 앞당겨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가연성 쓰레기로 생산되는 고형연료의 외부 반출량 등을 따져 소각장 규모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각장의 규모는 용역 결과가 나온 뒤 최종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가연성폐기물연료(SRF) 시설 조감도. 광주시 제공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