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없는 도청’을 시범 운영한 지난달 8~12일 충북도청 본관 앞 주차 공간이 비어 있다. 오윤주 기자
‘차 없는 도청’을 시행해 논란을 빚은 충북도가 도청 주차장 확보를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한다. 또 폐지했던 도청 직원 배정 주차 공간 중 절반을 직원에게 재배정한다.
충북도는 7일 “한 달 동안 지속한 ‘차 없는 도청’ 관련 논란을 일단락하려고 노조와 협의를 했고, 주차장 확보 방안 등을 전문기관에 맡겨 연구하기로 합의했다. 연구 용역 시기는 미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이우종 충북도 행정부지사와 이범우 충청북도 공무원노동조합(노조) 위원장은 황영호 충북도의장 중재로 ‘차 없는 도청’ 관련 노사 합의를 진행했다.
노사 합의로 ‘차 없는 도청’은 지속하지만, 보완 대책은 마련하기로 했다. 충북도와 노조는 이날 간부 직원에게서 회수한 주차 공간(107면) 가운데 절반인 54면을 다시 직원에게 배정하기로 했다. 직원 출퇴근용 관용 셔틀버스를 연말까지 운영하고, 내년엔 버스 임차 예산을 확보해 민간 셔틀버스를 운행하기로 했다.
‘차 없는 도청’은 “도청을 문화공간으로 바꿔 도민에게 돌려주라”는 김영환 충북지사의 지시로 시작했다. 충북도는 지난달 8~12일 ‘차 없는 도청’ 시범 운영을 했다. 시범 운영 때는 도청 안 전체 주차 공간(377면) 가운데 106면만 임신·장애 공무원, 민원인에게 배정하고 271면은 폐쇄했다. 이후 도는 같은 달 13일부터 직원을 대상으로 ‘차 없는 도청’을 자율 시행했다. 도는 ‘차 없는 도청’에 앞서 도청 주차난 해소를 위해 노조가 지속해서 요구한 주차타워(빌딩) 건립과 직원 의견 수렴을 통한 시행 등을 약속했다.
충북도 공무원노동조합이 충북도의 ‘차 없는 도청’ 운영에 반발해 도청 앞에서 시위하고 있다. 오윤주 기자
하지만 충북도가 ‘차 없는 도청’ 자율 시행을 하면서 팀장급 이상 간부 직원에게 배정된 주차 공간(107면)을 민원인에게 배정하기로 하고, 김 지사가 주차타워 건립 계획을 백지화하자 노조가 반발했다. 노조는 지난달 22일 도청 주변 곳곳에 ‘차 없는 도청’ 시행 중단을 촉구하는 펼침막을 걸고 날마다 1인 시위를 하기도 했다.
‘차 없는 도청’ 관련 충북도청 주변에 걸린 펼침막. 노조는 지난 6일 펼침막을 뗐다. 오윤주 기자
노조는 이날 합의에 따라 그동안 지속했던 ‘차 없는 도청’ 시행 철회 요구를 접기로 했다. 이범우 노조 위원장은 “‘차 없는 도청’ 관련 논란을 걱정하는 도민을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도와 합의했다. 도청 주차난 해소를 위한 주차장 확보 연구 용역 진행을 합의서에 담았고, 직원 근무 환경 관련 정책 시행에 앞서 직원 등과 협의해야 한다는 내용은 구두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