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공무원노동조합이 22일 충북도청 브리핑실에서 ‘차 없는 도청’ 관련 직원 대상 설문결과를 발표하고, 시행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오윤주 기자
충청북도 공무원노동조합(충북 공무원노조)이 김영환 충북지사가 추진하는 ‘차 없는 도청’ 프로젝트의 중단을 촉구했다. 하지만 김 지사는 “노조의 반대를 납득할 수 없다”며 사업을 계속하겠다는 뜻이 확고하다.
충북 공무원노조는 22일 충북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영환 지사에게 ‘차 없는 도청’ 즉시 철회를 강력히 요구한다. 도청 직원과 주변 주민·직장인 등을 위해 철회 때까지 반대운동을 전개해 나간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충북도청 직원을 대상으로 벌인 ‘차 없는 도청’ 관련 설문조사 결과도 발표했다. 이 조사를 보면, ‘차 없는 도청’ 사업에 대한 찬반을 묻는 질문에 80%가 반대 의사를 밝혔으며, 65%는 ‘자율 시행’ 방식의 사업 추진에도 반대했다. ‘차 없는 도청’ 시범 운영 기간 진행한 ‘출퇴근 셔틀 버스 운행’과 ‘외부 주차장 임대’에 대해서도 각각 77%와 58%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노조가 지난 16~18일 진행한 설문조사에는 도청 공무원 1200여명 가운데 749명(본청 649명, 외청 100명)이 참여했다.
‘차 업는 도청’. 충북도가 지난 8~12일 시범 운영한 ‘차 없는 도청’ 충북도청 본관 앞에 주차된 차가 없다. 오윤주 기자
앞서 충북도는 “도청을 문화공간으로 바꾸라”는 김영환 지사의 지시에 따라 지난 8~12일 청사내 주차 공간을 폐쇄하고 ‘차 없는 도청’ 시범 운영을 했다. 이 기간 도청 안 주차 공간 377면 가운데 임산부·장애 공무원 등에게 허용한 106면만 남기고 폐쇄했다. 대신 외부 주차장 155면을 추가 임차하고, 직원 출퇴근을 위한 관용 셔틀버스를 운행했다. 시범 운영 종료 뒤 충북도는 13일부터 ‘차 없는 도청’ 사업을 자율 시행으로 전환했다. 하지만 도가 직원에게 배정했던 주차면(170면) 가운데 팀장 이상 관리자급 직원에게 배정된 107면을 민원인에게 추가 허용하기로 하자, 노조는 ‘자율을 가장한 강제 시행’이라며 반발했다.
충청북도 공무원노동조합이 충북도청 앞 거리에 내건 펼침막. 오윤주 기자
충북 공무원노조는 “자율 시행으로 말을 바꿔 직원 주차(107면)를 사실상 금지하고 차량을 밖으로 내몰면서 직원 불편이 커졌다. 더불어 도청에서 쫓겨난 직원 차량으로 주변 주민들이 덩달아 주차 피해를 보고 있다. 직원 의견 수렴 없이 강행한 ‘차 없는 도청’ 정책을 철회하고, 주차 타워 설립 등 도청 주차 대책을 세우라”고 요구했다.
김영환 지사는 노조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차 없는 도청은) 노조가 앞장서서 해야 할 일이다. 반대하는 노조를 납득할 수 없다. 시간이 지나면 (사업의 취지를) 알게 될 것이고, 시민들이 판단해 줄 것이다. 내가 노동운동 1세대인데 (노조의 요구는) 내가 생각하는 노동운동과 다르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노조가 요구하는 도청 내 주차 타워 건립에도 부정적이었다. 김 지사는 “도청과 상당공원 사이에 울타리를 없애고, 도청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