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경기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 행정복지센터 내 민원창구에 코로나19 확진자 자가격리 생활지원비 신청 안내 문구가 붙어 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21일 오전 10시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 행정복지센터는 코로나19 자가격리 생활지원비 신청 서류를 작성하는 시민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오전 9시부터 늘어선 신청자 행렬은 끊기질 않았고, 관련된 전화 문의도 계속 이어졌다. 정은섭 맞춤형복지팀장은 “민원 업무 담당자 7명 가운데 3명을 생활지원비 업무에 투입하고, 야근까지 하는데도 역부족”이라고 털어놨다. 유림동에서는 지난 1월 하루 평균 10여건에 불과하던 신청 건수가 최근 100건을 훌쩍 넘어섰다.
코로나19 생활지원비는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과 격리 치료를 받은 이들이 격리 해제 뒤 받는 지원금으로, 가구 내 격리자가 1명이면 10만원, 2명 이상인 경우 15만원이 정액 지급된다.
용인지역 전체 생활지원비 신청 건수는 하루 평균 지난 1월 70건에서 3월(1~19일) 154건으로 배 이상 늘었다. 용인시 관계자는 “미처 하지 못한 전산 입력을 고려하면 실제 신청자는 더 많을 것”이라며 “이 업무를 도울 기간제 노동자 60명을 이번주 중 채용해 다음주부터 현장에 배치한다”고 말했다.
인근 수원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하루 평균 신청 건수가 1월 106건에서 3월(1~20일) 640건으로 폭증했다. ‘대응팀’까지 꾸린 수원시는 4~6월까지 3개월간 한시적으로 44개 동에 기간제 노동자 61명을 배치하기로 했다. 지난해 하루 평균 230건이던 인천시 생활지원비 신청 건수도 올해 1~2월엔 726건가량으로 늘었다.
3월 들어 하루 평균 7만명가량씩 확진자가 쏟아지고 있는 서울시도 비상이다. 안재동 서울시 복지공동체팀장은 “담당이 아닌 주민센터 직원들도 퇴근을 미룬 채 작업을 돕고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예산 소진이다. 용인시의 경우, 올해 생활지원비 예산 97억원 가운데 71%(69억원)가 소진됐다. 인천시 서구·미추홀구·동구·강화군은 관련 예산을 모두 써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나섰고, 인천시도 시비 563억원을 재해구호기금으로 긴급 편성해 10개 구·군에 내려보냈다.
이정하 이승욱 손고운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