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수원월드컵재단이 관리하고 있는 수원 월드컵경기장. 수원월드컵관리재단 누리집 화면 갈무리
이재명 경기도지사 당선자의 취임을 앞두고 추진돼 논란을 빚은(<한겨레> 6월26일치 13면) 경기도수원월드컵스포츠센터의 운영 사업자 선정 절차가 중단된다.
민선 7기 경기도 지사직 인수위원회는 26일 경기도지사의 교체를 앞두고 연간 20억원대 위탁 수수료를 내는 경기도수원월드컵스포츠센터의 운영 사업자 선정 절차를 중지하고 재검토하도록 경기도에 요청했다.
인수위는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직 인계 인수 매뉴얼은 사업규모나 이해관계가 큰 인허가, 예산규모가 큰 사업 등의 경우, 결정을 자제하되 꼭 필요한 경우 당선인 쪽과 사전협의 후 조치하도록 업무 추진 방향을 명시하고 있지만,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은 이러한 절차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 “이 사업의 수탁업체 선정이 민선 6기 지사 임기 말에 무리하게 추진돼 위법부당 사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해 현재 진행 중인 수탁사업자 선정 절차 중지 및 재검토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인수위는 이와 함께 “전임 지사의 임기 말 이뤄지는 경기도청 및 관련 산하기관의 인사, 사업규모나 이해관계가 큰 인허가 예산, 예산규모가 큰 사업에 대해서도 반드시 당선인과 협의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산하기관인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은 이재명 경기지사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참여 업체들로부터 특정 대기업 내정 의혹 등의 반발 속에 연간 20억원대 위탁수수료 이익을 얻는 월드컵스포츠센터의 입찰을 강행해 논란을 빚었다.
현재 재단 사무총장은 한규택 전 한나라당 도의원으로 남경필 경기지사가 임명한 인물이며 임기는 내년 2월까지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