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벗님글방

일수사견, 같은 것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본다

등록 2022-07-23 11:40수정 2022-07-23 12:29

한문 경구로 만나는 붓다
사진 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일수사견(一水四見).

하나의 물을 네개의 모습으로 본다.

결혼식 주례사가 끝나면 사회자가 신랑·신부에게 연애 시절을 묻는다. 신기하게도 내용이 거의 같다. “이 사람을 만나고 나서 세상이 아름답게 보였어요.” 늘 보고 있는 하늘과 나무, 늘 듣는 음악, 매번 먹는 음식, 그러니까 늘 마주하는 사물과 일상이 아름답게 빛나고 있다는 고백이다. 뭐, 사랑에 빠지면 예쁘지 않은 게 있으랴.

그런데 그토록 사랑하는 부부가 시간이 흐르면 상황이 반전되는 경우를 보게 된다. 연애 시절 ‘참새처럼 떠들어도 여전히 귀여운 소리’는 피곤한 수다로 들린다. 당당하던 모습이라고 생각했던 행동은 허세로 보인다. 행위와 사물이 바뀌지 않았는데 왜 마음에 비친 그의 모습은 달라졌는가? 인간의 마음을 깊이 다루고 있는 ‘유식불교’에서는 이를 ‘일수사견’이라고 말한다. 눈앞의 물을 두고 네개의 모습으로 본다/보인다는 뜻이다. 천상세계 사람은 보석 유리알로, 인간은 마시는 물로, 아귀세계는 피고름으로, 물고기는 일상을 살아가는 집으로 본다는 것이다. 동일한 모습에 대해 인식과 해석이 다른 것이다. 그래서 100명의 사람이 지리산을 보면 100개의 지리산이 존재하는 이치와 같다.

일수사견. 뭘 말하고자 하는가? 편견과 편향의 위험성에 대한 일침이 아니겠는가. 우리는 이해관계, 소속, 경험, 환경, 학습, 전해 들은 말 등에 오염되어 늘 편견과 편향의 태도를 가지고 있다. 그렇게 세상을 자의적으로 편집한다. 거기에서 갈등과 괴로움이 발생한다. 색안경 쓰지 말고 보라는 평범한 말이 일수사견의 뜻과 같다. 평범을 잘 살피고 새기면 비범이다. 정신 바짝 차리게 하는 죽비소리. 보고 듣는 매 순간을 살피라. 착각! 착각! 착각!

글 법인 스님/지리산 실상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왜 같은 불교인데도 어디선 육식 금하고 어디선 허용할까 1.

왜 같은 불교인데도 어디선 육식 금하고 어디선 허용할까

 장윤스님 ‘신정아씨 두둔’ 왜? 2.

장윤스님 ‘신정아씨 두둔’ 왜?

간디의 직업은? 3.

간디의 직업은?

그래도 해야한다 4.

그래도 해야한다

삼위일체 교리는 한마디로 빈말 5.

삼위일체 교리는 한마디로 빈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