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벗님글방

봄 길에서 ‘솔 푸드(soul food)’를 만나다

등록 2012-04-01 21:52

일 때문에 읍내에 나갔다가 점심 무렵 인근의 암자에 들렀다. 밥상에 '봄동'겉절이가 올라왔다. 눈과 코 등 오감(五感)이 동시에 그것을 향하고 있었다. 맛있는 것이 사방에 널려 있는 세상이건만 소박한 맛이 주는 감동은 그 어떤 화려한 음식도 따라올 수 없는 독특한 매력이 있다. 잔설(殘雪)이 드문드문한 이른 봄날 텃밭에 나가 줍듯이 소쿠리에 담은 후, 별다른 솜씨를 더하지 않고서도 부엌에서 후딱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흔한 듯 하면서도 귀한 그 맛은 마음까지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말 그대로 소울푸드(soul food)였다. 봄동은 늦게 파종한 배추다. 하지만 보통 배추와는 달리 속을 채우지 못한 채 밭에서 겨울을 보내게 된다. 잎 역시 쫙 펴진 상태로 땅바닥을 기어가는 모양새다. 맛과 냄새도 배추라고만 할 수 없는 또다른 향미가 있다. 배추이면서 배추가 아닌 불이(不二)의 경지라고나 할까. 이는 자기를 고집하지 않고 주변환경에 따라 스스로 변화하는 여유로움을 통해 도리어 자기를 더욱 부각시키는 역설의 아름다움까지 보여준다.
며칠 전에는 오솔길 끝에 숨은듯이 자리한 음식점에서 식탁 위에 놓여있는 ‘다쿠앙’을 만났다. 흔히 접하던 무에 물만 들인 노란 단무지가 아니였다. 꼬들꼬들하게 약간 마른듯한, 단단한 겨울무로 제대로 만든 것이였다. 옛맛을 그대로 간직한 소울푸드 였다. 쌀겨 속에서 노랗게 물이 들면서 익어가던 그 풍경까지 아련하게 떠올랐다. 섬세한 성정의 안주인은 그런 나의 표정을 읽었는지 다상(茶床)을 파할 무렵 작은 반찬통을 건네주었다. 다쿠앙 선물이었다. 다쿠앙은 절집에서 유래했다. 일본 도쿄 시내의 동해사(東海寺)에 어느 날 토쿠가와(德川) 막부의 이에미스(家光)장군이 찾아왔다. 그 절에 머물고 있던 다쿠앙(澤庵 1573~1645) 선사는 산해진미에 이골이 난 그를 위해 준비한 것은 단무지 였다. 그 담백한 맛에 흠뻑 반한 장군은 식사 후, 이 노란무를 선사의 이름을 따서 '다쿠앙'으로 부르자고 제언했다. 단순한 맛이 오히려 복잡한 사람을 감동시킨 힘이 된 것이다. ‘봄동’이란 이름은 누가 붙였는지 알 수 없지만 작명실력이 이에미스(家光)장군 보다는 한 수 위라고 하겠다. 봄은 우리말 '봄'이고, 동은 한자어로 겨울인 ‘동(冬)’일 것이다. 봄나물을 상징하는 쑥이나 냉이는 겨울과 단절을 전제로 한다. 겨울을 버려야만 얻을 수 있는 나물이다. 하지만 절기란 두부 자르듯 나눠지는 것이 아니다. 겨울은 봄을 안고 봄은 겨울을 안으면서 서로가 서로를 거두어 주는 가운데 서서히 조금씩 바뀌는 것이다. 그런 이치를 아는 중도(中道)적 안목을 지닌 어떤 이가 ‘봄동’이라고 지었을 것이다. 그래서 봄동은 봄이라고 해서 결코 겨울을 버릴 수 없는 몸이 됐다. 그 덕분에 겨울과 봄을 포섭하는 두가지 맛을 가진 사실까지 모든 이가 알게 되었다. 이름만으로 자기의 전부를 드러내는 명작문패를 단 까닭이다.
봄동은 겨울을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잎은 거칠지 않고 부드러웠다. 자비심을 가득 안고서 모진 추위와 더불어 살았기 때문이리라. 설한(雪寒)을 물리쳐야 할 대상이 아니라 같이 즐긴 것이다. 만약 봄까지 살아남겠다는 각오로 이를 악물고 겨울과 다투듯이 버텼다면 그 잎은 매우 질겼을 것이다. 그랬다면 봄이 열 번 온다한들 누가 거들떠 보기나 하겠는가? 자비심은 스스로를 부드럽게 가꾼다. 더불어 밥상머리에 앉은 주변인들의 표정까지도 환하게 바꾸어 준다. 어쨋거나 그런 소울푸드를 만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살아가는 즐거움이다. 원철스님 munsuam@hanmail.net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당신이 스트레스에 취약한 이유 1.

당신이 스트레스에 취약한 이유

예수와 붓다의 연결 고리 도마복음 2.

예수와 붓다의 연결 고리 도마복음

스리랑카 사르보다야 3.

스리랑카 사르보다야

하늘이 당신에게 시련을 주는 이유 4.

하늘이 당신에게 시련을 주는 이유

평생을 지켜야 할 한마디, 역지사지…그러나 쉽지는 않다 5.

평생을 지켜야 할 한마디, 역지사지…그러나 쉽지는 않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