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양산 백운암
[하늘이 감춘 땅] 봉암사 백운암
손발 흙 묻히는 ‘노동 수행’은 ‘필수’
선방에서 졸면 “밥값 내놔라” 불호령
봉암사 백운암은 희양산의 그 단단한 바위의 턱 밑에 있습니다. 따라서 그 곳까지 오르기 위해선 경사진 비탈길을 숨을 할딱이며 치고 올라가야 하지만, 일단 ‘백운(白雲·흰 구름)’이 머무는 암자에 이르면 한 마리 학이 되어 날 것만 같은 기분이 됩니다. 멀리서 보았던 그 단단한 흰 바위가 바로 눈앞에 펼쳐져 다이아몬드처럼 빛나고 있어서 마치 자신이 그 보석이 된 것도 같습니다. 바로 그 자리의 백운암은 딱 벌어진 거인의 어깨 위에 한 마리 학이 사뿐히 앉아 있는 것만 같습니다.
학은 천년을 사는 영물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돼지처럼 잠자고, 거위처럼 먹어 살이 쪄 뒤뚱댄다면 그 고결한 본래의 자태와 성품을 어떻게 드러낼 수 있었겠습니까.
손수 꿀 치고, 채소 가꿔 대부분의 먹거리 자급자족
10여 년 전까지 이곳에서 홀로 살던 호연 스님은 날다람쥐처럼 날아도 30~40분은 걸릴 봉암사까지 공양 때마다 내려갔다가 올라왔습니다. 그는 매번 빈 지게를 지고 산 아래에 내려갔다가는 공양을 하고, 봉암사 부근에서 나무를 한 짐해선 지게에 지고 그 험한 비탈길을 올라왔다고 합니다.
현대인들이 자동차에 의지해 걷지 않고, 갈수록 손발조차 움직이지 않으며 기계에 의존하면서 편리함에 온몸을 점차 의탁하고 있을 때 그는 왜 굳이 아래에서 나무를 해 그 정상까지 지고 가는 몸의 고행을 자처했던 것일까요?
그만이 아니었습니다. 봉암사 뒤 희양산 깊은 산골에서 토굴살이를 하는 용추토굴의 종명 스님도, 월봉토굴의 월봉 노스님도 손수 꿀을 치고, 채소를 가꾸고 대부분의 먹거리를 가꿔 자급자족했습니다.
봉암사가 1년 내내 산문을 폐쇄하고 참선 정진하는 조계종의 유일한 종립특별선원이긴 하지만 이들이 놀고, 먹으며 참선 수행만 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아마 한국 불교계에서 봉암사 스님들만큼 몸으로 일을 하는 스님들도 많지 않을 것입니다. 봉암사 아래에 있는 수 만평의 밭을 선원의 선승들이 직접 가꿔서 상당수 먹거리를 스스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동안 먹지도 않는다’ 규약
1947년 성철, 청담 스님 등이 봉암사 결사를 단행 할 때부터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동안 먹지도 않는다’(一日不作 一日不食·일일부작 일일불식)는 것은 이들의 가장 기본적인 규약이었습니다. 그 때부터 그렇게 일을 하다 지쳐서 선방에서 졸기라도 할라치면 “밥값 내놔라!”는 성철 스님의 멱살잡이에 선승들은 마루 밑으로 저만치 나둥그러지곤 했습니다.
또 조계종 종정을 지냈던 서암 스님(1917~2003)은 오늘날 봉암사를 일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1979년 봉암사 조실에 추대된 이래 80~90년대 봉암사를 이끌었던 스님은 언제나 자신의 빨래를 손수 했고, 노구의 몸임에도 택시를 타고 절에 들어오는 법이 없었습니다. 꼭 먼 길을 걸어 나가서 완행버스로 읍내에 도착한 뒤 다시 시외버스에 몸을 싣고 대구까지 갔다가 서울까지 통일호 열차를 타고 갔습니다. 노구의 그에게 그만 새마을 열차를 타라고 하면 “통일호 열차는 눕고 싶어도 누울 수 없으니 허리를 곧추 세운 채 참선하기 그만이고, 서서히 가니 산천경계를 구경할 수 있어서 더 할 나위 없이 좋은데, 거기다 돈까지 적게 받으니 얼마나 좋으냐”고 했습니다. 저도 서암 스님이 열반하시기 전 몇 차례 뵌 적이 있습니다. 말과 행동의 차이를 찾아보기 어려운 그런 진실한 분을 다시 만나보기가 어찌 쉬운 일이겠습니까.
봉암사의 주지 함현 스님이 심장수술을 받을 만큼 좋지 않은 건강상태에서 잠시도 쉬지 않고 절 살림을 하는 것도 그런 서암 스님의 삶을 가까이서 지켜보면서 체득한 때문입니다.
백운암의 까치밥
선방 대신 공양간으로 들어가 한 철 동안 부엌데기로 수행
이곳에선 선방에 앉아 있는 것만이 수행이 아닙니다. 예부터 어묵동정(語默動靜·말하건 침묵하건 움직이건 멈춰있건)간에 수행을 중시해온 선가에선 한 마음을 쉬면 시장 바닥에서도 고요할 것이요, 마음을 쉬지 못하면 깊고 깊은 심산에서도 요란하기 그지없다고 했습니다.
이곳 봉암사에서 오랫동안 수행했던 수경 스님(화계사 주지)이 몇 년 전 최고 고참임에도 불구하고 후배들을 위해 자신은 선방으로 들어가지 않고, 대신 공양간으로 들어가 한철 동안 부엌데기를 자처해 장작불로 밥을 해서 선승들을 ‘시봉’한 적이 있습니다. 그에겐 장작을 때는 것이 바로 수행이었을 것입니다. 한국 불교계의 대표적인 실천운동가로서 막사이상을 받기도 했던 정토회 지도법사도 젊은 시절 한때 머리를 기르고 봉암사에서 불목하니(절 머슴)로 일하면서 선방이 아닌 머슴으로 수행한 적이 있습니다. 어찌 일이 앉아서 좌선하는 것보다 더 수행이 되지 않을 리 있겠습니까. 만약 앉아야만 수행이 된다면 저 무정물들인 바위를 따를 자가 없을 것이며, 그것은 활발한 ‘선가(禪家)’가 아니라 ‘상가(喪家)’일 것입니다.
자급자족 승가공동체 꿈꾸며 옻나무 수백그루 무럭무럭
함현 스님은 암자에 오르는 길에서 용곡 상류 봉암사 깊은 산골에 어머니 품 같은 분지가 나오자 이곳에서 완전한 자급자족 선승 공동체를 일구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깊은 봉암사에서도 1~2십 리는 더 들어가는 깊은 산골에 외부와는 차단된 곳에 선방을 지어 자급자족 승가공동체를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곳엔 스님들이 자급자족의 기반을 닦기 위해 심어놓은 옻나무 수백그루가 가득했습니다. 봉암사의 경제력이 미치지 못해 그런 꿈을 실현시키지는 못하고 있지만 그 옻들을 바라보는 함현 스님의 눈은 꿈 많은 소년처럼 푸르렀습니다.
높고 높은 산을 오르내리니 몸은 고단하지만 정신은 더욱 더 성성히 깨어났습니다. 몸의 편리만을 추구하면서 영혼과 정신마저 잃어버린 이들에게 날다람쥐처럼 산을 달리며, 머슴처럼 흙을 파는 선승들의 손발에서 일심의 고요가 흐릅니다. 누가 반농반선(半農半禪·절반은 농사짓고, 절반은 참선)이라 했던가요. 선가에선 전농전선(全農全禪·앉아 있을 때는 참선할 뿐, 일할 때는 오직 일할 뿐)이 있을 뿐입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선승들 꼭 야쿠자 같은데….” “그렇다, 그러나… “
한 후배가 물었습니다. “조 선배와 친한 선승들은 꼭 야쿠자 같은데요?” 그래서 그랬습니다. “그렇다. 그들과 가장 유사한 집단이 있다면 야쿠자일지 모른다. 오직 하나에 죽고 사는 것에서 그렇다. 목숨까지 건다는 데서 그렇다. 더구나 선승들은 다른 사람의 눈치 같은 건 의식하지 않기 때문에 때론 깡패처럼 불손하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겉모습일 뿐이다. 야쿠자는 남을 죽이지만, 선승은 남을 죽이고자 하는 그 마음을 단칼에 죽여 버린다. 그런 마음을 푹 쉬어버린다. 만약 겉모습에 걸려 넘어지지 않고 그 모습 너머를 본다면, 감히 그 야쿠자 같은 선승들과 함께 춤을 출 수 있을 것”이라고.
콜럼버스의 미 대륙 발견 기념 영화 주제곡을 붙인 까닭
여기 배경음악으로 깐 것은 그리스에서 음악의 신으로 일컬어지는 바겔리스(vagelis)가 작곡한 것입니다. 1992년 콜럼버스의 미 대륙 발견 500돌을 기념해 만든 영화인 <더 나은 꿈을 위하여>란 영화 주제곡입니다.
왜 이 곡을 봉암사 글 마지막 곡의 배경으로 선택했을까요. 나는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에 어떤 의미도 두지 않습니다. 인류 문명의 발달상 그가 아니었더라도 곧 서양인들은 그곳에 갔을 것입니다. 콜럼버스를 비롯한 서양인들, 기독교 선교사를 앞세운 그들은 그 이후 세계를 제패한 유럽 문명의 야만성을 보여주었을 뿐입니다. 소와 돼지를 사냥하는 것보다 더 잔혹하게 아메리카 원주민을 학살한 콜럼버스의 행동은 지금 생각해도 분노를 금할 수 없습니다. 콜럼버스 등 초기 정복자들은 추위와 병으로 죽어가는 이방인들을 따뜻하게 맞아준 원주민 추장들에게 ‘잔치를 베풀어 고마움을 표하겠다’고 초청해놓고는 불에 태워죽이고, 도망가는 원주민 아이들의 손과 발을 칼로 잘라버린 만행을 저질렀고, 그것도 단 한차례가 아니라 끊임없이 그런 만행을 계속해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절멸시켰지요.
그는 미 대륙을 낙원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낙원을 짓밟은 장본인이지요. 어찌 그런 욕망과 탐욕으로 낙원을 짓밟은 자들이 유럽인들뿐이겠습니까. 지금의 티베트도 그런 상황은 아닐까요. 콜럼버스를 기리는 영화의 배경음악을 직역하면 ‘낙원의 정복’입니다.
선승은 남의 낙원을 정복하는 사람이 아니라 그런 욕망과 폭력과 야만과 무지를 끊는 사람입니다. 낙원을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사는 낙원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그런 폭력의 정신에 맞선 선의 정신이 이제 나아갈 때입니다. 이 음악을 들으며 그런 폭력심이 아니라 그런 욕망과 이기와 폭력의 분별을 단칼에 자르는 정신의 혁명이 일어나길! 욕망이 아니라 내면을 깨우는 노랫말은 콜럼버스가 아니라 오히려 선승들에게 더욱 더 어울립니다.
Conquest Of Paradise(더 아름다운 꿈을 향하여) -Dana Winner
There shines a light in the heart of man
사나이 가슴에서 빛이 발하고 있구나
That defies the dead of the night
그것은 어둠을 없애려는 도전이다
A beam that glows within every soul
모든 이들의 내면에서부터 발하는 빛이다
Like wings of hope taking flight
그것은 비상하려는 날개와 같다.
A sunny day, when a baby's born
찬란한 날, 새로운 생명이 태어날 때
The little things that we say
우리는 하찮은 것들이라 말한다
A special sparkle in someone's eye
어느 누군가의 눈가에서 이글거리는 번쩍임
Simple gifts, every day
매일 얻어지는 간단한 선물들
Somewhere there's a paradise
어딘가엔 낙원이 있고
Where everyone finds release
그곳엔 모든 이에게 해방이 있노라
It's here on earth and between your eyes
이 지구상에 그리고 그대들의 눈 속에 있지
A place we all find our peace
우리 모두가 평화를 얻을 수 있는 곳이로다
Come-open your heart
어서, 그대들의 가슴을 열어봐요
Reach for the stars
별들에게 손을 뻗어봐요
Believe your own power
그대들의 힘을 믿어요
Now, here in this place Here on this earth
자, 바로 여기에 우리가 서 있는 바로 여기
This is the hour
지금이 바로 그 시간입니다
It's just a place we call paradise
우리가 낙원이라고 부르는 그곳이다
Each of us has his own
우리들 각자는 자기만의 낙원을 갖고 있다
It has no name, no, it has no price
이름도 없고, 돈이 들지도 않는다
It's just a place we call home
바로 우리가 집이라고 부르는 그곳이다
A dream that reaches beyond the stars
별 저 너머에 있는 꿈
The endless blue of the skies
하늘은 끝없이 파랗구나
Forever wondering who we are?
우리는 누구인가 하는 영원한 질문
Forever questioning why?
영원한 의문
Come - open your heart
어서, 그대들의 가슴을 열어봐요
Reach for the stars
별들에게 손을 뻗어봐요
Believe your own power
그대들의 힘을 믿어요
Now, here in this place Here on this earth
자, 바로 여기에 우리가 서 있는 바로 여기
This is the hour
지금이 바로 그 시간입니다
There shines a light in the heart of man
사나이 가슴에서 빛이 발하고 있구나
That defies the dead of the night
그것은 어둠을 없애려는 도전이다
A beam that glows within every soul
모든 이들의 내면에서부터 발하는 빛이다
Like wings of hope taking flight
그것은 비상하려는 날개와 같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이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
하늘이 감춘 땅>(한겨레출판 펴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