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톨릭 최고지도자인 정진석(79) 추기경의 4대강 발언에 대해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사제단)이 ‘궤변’이라고 질타하고 나선데 이어 13일 원로 사제 20여명이 ‘서울대교구장직에서 용퇴할 것’을 촉구하고 나서 파장이 커져가고 있다.
교황-주교-사제들의 일사분란한 체제를 갖추고 순명을 최고의 미덕으로 내세우는 가톨릭에서 사제들이 추기경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며 심지어 용퇴를 주장하는 것은 가톨릭 역사에서 극히 이례적이다. 우리나라에서 김수환 추기경이 국가보안법 유지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을 때 비판적인 견해가 나오며 긴장 관계를 유지하기도 했지만, 김 추기경은 민주화와 인권에 대한 사제단의 지대한 기여를, 사제단은 김 추기경의 지도력을 서로 인정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대체로 유지하려 애썼다.
하지만 김수환 추기경이 정년(75세)를 맞아 은퇴한 지난 1998년 정 추기경이 서울대교구장에 부임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정 추기경의 보수우익 편향적 시각이 명동성당 일대를 지배하면서 민주화의 성지로 여겨졌던 명동성당이 사제단의 기도회조차 허용하지않기에 이르렀다. 또 지난 2007년 김용철 변호사의 삼성 비자금 사건 폭로를 도왔던 사제단 대표를 맡은 전종훈 신부에 대해 정진석 서울대교구장이 관행에도 없는 안식년 발령을 3년이나 연속해 내림으로써 ‘정 추기경이 사제단 대표의 손발을 묶어 신부들의 사회 참여 의지를 박멸시키려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번 용퇴 주장은 민주화와 인권, 정의에 대한 기여로 국민들로부터 양심세력으로 신망 받던 한국 가톨릭의 위상이 흔들리는데도 정 추기경이 김수환 추기경과 달리 정년 퇴직을 4년이나 연장하고 있는데 기인한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정 추기경이 가톨릭에 대한 4대강 반대 기류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등 임계점을 넘어서면서 사제단의 인내가 한계 수위를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주교단이 4대강 개발을 반대한 것은 아니다’는 정 추기경의 발언과 달리 주교회의를 비롯한 신부들은 이미 4대강 반대를 기정사실화해왔다. 주교회의가 지난 3월 13일 ‘4대강 사업이 자연환경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한데 이어 4월10일 대구대교구 신부들은 대구 달성군 달성보 건설현장에서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한 생명평화미사’를 열었고, 주교회의 의장 강우일 주교(제주 교구장)와 수원교구 이용훈,최덕기 주교 등 전국의 주교,신부, 신자 등 1천여명은 지난 6월 14일 경기도 양평균 양수리의 공사 현장인 두물머리에서 미사를 드렸다. 이 자리에서 강 의장은 “주교단의 입장 표명은 하느님 백성들에게 드리는 주교들의 가르침이므로, 천주교 신자라면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강 의장은 이어 가톨릭매체인 <경향잡지> 7월호에 “교회를 세상의 불의와 고통, 연민과 수난을 마다한 채 마음 상하지않고 지내는 인생 동아리 정도로 이해한다면 그것은 종교단체일 수는 있어도 진실한 그리스도의 교회는 아니다”면서 4대강 사업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각성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어 주교회의는 지난 10월 “4대강 사업은 대표적인 난개발”이라며 사목적 지침을 하달했고, 11월엔 광주대교구 김희중 대주교가 성당 강론을 통해 “먼저 밀어붙이고 이제 어쩔 수 없다고 말하려는 정부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정 추기경 대신 해명에 나선 서울대교구 허영엽 신부가 13일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진석 추기경이 4대강 사업에 노골적으로 찬성을하거나 정부 편을 든 것이 아니”라면서도 “정추기경이 주교회의가 발표한 성명에 대해 자세하고 분명하게 해석해 설명한 것”이라고 말해 왜곡 논란은 잦아들기 이려울 것으로 보인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