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사상연구원(이사장 원택 스님)과 성균관대 유교문화연구소(소장 김도일 교수)가 26일 오후 1시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 퇴계인문관 308호실에서 ‘불교사상과 유교사상의 소통과 조화’를 주제로 공동학술세미나를 연다.
이번 세미나에선 유교의 심학과 조사선 사상, 선(禪)의 불성과 유교의 인성, 무아와 겸손, 유불조화론과 유불융합 등의 관심사를 다루며 정이천, 주희, 육구연, 유자휘, 대혜종고, 웅십력, 모종삼, 당군의 등 불교와 유교의 여러 사상가들을 조명한다.
1부에서는 정상봉 건국대 교수가 ‘주희가 본 육구연의 심학과 선불교’를, 석길암 동국대 교수가 ‘불교적 사유와 중국적 사유의 융합과 간격- 불성과 인성 사이’를, 이원석 전남대 교수가 ‘유자휘의 유불조화론과 대혜종고의 영향’을, 김진무 원광대 교수가 ‘육구연의 심학과 조사선’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2부에서는 김도일 성균관대 교수가 ‘겸손의 유교적 그리고 불교적 색채’를, 이해임 상산고등학교 교사가 ‘장구성은 대혜종고에게 무엇을 배웠는가?’를, 김제란 고려대 강의교수가 ‘현대 신유학에 나타난 유불융합의 방식들-웅십력, 당군의, 모종삼 3인의 철학을 중심으로’를 각각 발표한다.
종합토론에서는 강경현 성균관대 교수와 김방룡 충남대 교수가 종합 논평을 맡으며, 이에 대한 발표자들의 답변으로 진행된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