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마음산책

깨달음의 정수, 화엄경이 온다

등록 2019-11-13 15:16

#옛날 딸만 둔 노인이 뒤늦게 아들을 낳았는데, 사위에게 이런 유언을 남겼다. ‘칠십생남자(七十生男子·칠십에 아들을 낳은들) 비오자(非吾子·내 자식이 아니라). 가중지물(家中之物·집안의 재산을) 진급녀서(盡給女壻·모두 사위에게 줄지니) 외인물론(外人勿論·외인을 말말라)’. 그런데 아들이 성인이 되어서 그 유서를 보고, “아버지가 그랬을리 없다”며 관청에 탄원을 했다. 원님은 사위가 아전인수격으로 단 ‘토’(吐)와 다른 토를 달아 해석했다. ‘칠십생남자(七十生男子·칠십에 아들을 낳았으니), 비오자(非吾子·어찌 내 자식이 아니랴). 가중지물진금(家中之物盡給·집안의 재산을 모두 줄지라도) (女壻外人勿論·녀서외인물론·사위는 외인이니 말하지 말라)’. 사위가 재산을 독차지하려 자식을 죽일까 두려워하며 쓴 유서이므로, 달리 토를 달아 자식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오대산 월정사 조실을 지낸 탄허 스님(1913~83)은 1세기 <화엄경>을 집대성한 이통현 장자의 호를 따 월정사 조실채를 방산굴이라고 짓고, 매일 밤12시에 일어나 10년에 걸쳐 <화엄경> 80권과 <통현론> 40권, <청량국사 화엄소처>, <현담> 등 화엄 관련 경·론·소를 집대성해 직역한 <신화엄경합론23권>을 내놓았다. <화엄경>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탄허 작업의 백미는 현토(懸吐)다. ‘七十生男子’란 같은 한문을 두고도, ’낳은들’이냐 ‘낳았으니’냐, 어느 토를 다느냐에 따라 해석이 반대가 되듯이, 부처의 뜻이 잘못 전해지는 일이 없게 토를 바로 붙인 것이라는게 <도서출판 교림> 서우담 대표(80)의 말이다.

 #서 대표는 월정사로 출가해 6년간 탄허를 시봉하다가 환속해 탄허가 출가 전에 남긴 속가 딸과 결혼했으며, 50여년을 한결같이 탄허의 책을 번역·출간해왔다. 탄허가 서울 인사동에 설립했던 화엄학연구소를 이끌어온 서 대표는 스승의 유지를 받들어 탄허의 <신화엄경합론>에 덧말(우리말)을 붙여 5권 3200쪽으로 출간했다. 무려 3년간 59만4천여자의 한자의 한글음을 붙여 한글세대도 <화엄경>을 독송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미 <화엄경> 한글본들이 많이 나와있는데, 한글음 화엄경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에대해 서 대표는 한번 한글음을 잘못 붙이면 영구히 후학의 눈을 멀게 할 수 있기에 제대로 된 음을 붙인 것이라고 했다. ‘복개(覆蓋)공사’는 ‘뒤엎을복’이 아닌 ‘덮을 부’이므로 ‘부개공사’라고 해야하는데, ‘복개공사’로 굳어지고, 장마가 ‘지리(支離)하다’도 누군가 잘못 쓰면서 ‘지루’로 굳어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후학들의 눈이 멀어 <금강경>의 핵심인 항복기심(降伏其心·마음을 항복받음)을 승려들조차 ‘강복기심’으로 읽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번 출간은 이런 중요성을 안 한 비구니 스님이 1억원을 희사헤 이뤄졌다고 한다.

 #<대방광불화엄경>(화엄경)은 불경의 정수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뒤 첫번째 설한 경이다. 그러나 이를 제대로 알아듣지못하자 하나하나 설한게 8만4천경전이 되었다고 한다. 일본 도쿄대는 화엄학연구소를 설립해 화엄경합론 번역 작업을 시도했으나 여의치않자 1970년대 탄허를 초청해 일주일 강연을 들었다고 한다. 그 때 스승을 모시고갔던 서대표는 “100명의 불교학자들이 스님의 일주일 강연이 다 끝나자 즉각 책상을 다 치우고 큰절로 3배를 올렸다”며 “스님처럼 유·불·선에 모두 통한이가 없어 백명으로도 번역하지못하다 백명의 지혜를 다 합쳐도 당하지못할 견처를 보고 감복한 것이지, 그들이 총칼을 들이댄다고 한국인에게 큰절 삼배를 올리겠느냐”고 말했다. 탄허의 제자인 전 조계종교육원장 무비스님도 <대방광불화엄경 강설(담앤북스 펴냄) 81권을 지난해 마무리했다. 너무도 어려워 대중들이 다가서기 두려워했던 <화엄경>의 대중화가 가까워진듯하다.

 #의상은 661년에 당나라의 사신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서 종남산 지상사에서 화엄종의 2대 조사 지엄스님으로부터 화엄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그 핵심사상을 210자(字)로 담은 법성게를 남겼다. 근세엔 선의 중흥조인 경허스님이 월정사에서 화엄경을 설했다. 이 때 경허는 두두물물이 화엄 아닌 것이 없다고 했다. 모두가 귀하고 아름답지않은 것이 없으며 있는 그대로가 청정법신 비로자라불이라는 것이다. 경허로부터 법을 물려받은 조계종의 초대종정 한암스님(1876~1951)은 월정사에서 동산·효봉·고암·관응·탄허 스님에게 화엄경을 가르쳤는데, 훗날 한국불교의 주춧돌이 된 이들 5명에게 한명당 열장씩 읽게 한뒤 한암이 해설을 했다고 한다. 한암은 자신이 현토(縣吐)를 붙인 <화엄경>을 제자 탄허스님(1913~83)이 번역케 해 선방에서 결제를 난 수좌들에게 해제 때면 걸망에 넣어 내보냈다고 한다. 또 불상 앞엔 늘 <화엄경>을 모셨다고 전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주역과 정역의 모든 것…29일 추계학술회의 1.

주역과 정역의 모든 것…29일 추계학술회의

아픔과 불행이 소명을 준다 2.

아픔과 불행이 소명을 준다

"개신교, 뉴라이트로 정치조직화가 문제" 3.

"개신교, 뉴라이트로 정치조직화가 문제"

 조계종 원로의원 혜정 스님 입적 입적 4.

조계종 원로의원 혜정 스님 입적 입적

세상공부를 마친뒤 들어가는 진짜 공부는 5.

세상공부를 마친뒤 들어가는 진짜 공부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