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소수교회가 대형마트처럼 대형화하고 대부분의 교회들은 고사하는 양극화현상을 목회자들의 대부분이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조사는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가 오는 26~28일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두원리 현대성우리조트에서 국내외 석학들과 목회자 300명을 초청해 주최하는 국제실천신학심포지엄을 앞두고 최근 목회자 430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의 58.1%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라고, 33.3%는 ‘어느 정도 문제가 된다’라고 각각 답해 91.4%가 ‘문제’로 지적했다. 특히 현재 교회에서 사역한 기간이 길수록 또 서울 경기 등 수도권 목회자들이 양극화를 심각하게 받아들였다.
작은 교회에서 교인들이 줄어드는 이유에 대해 가장 많은 23.7%는 ‘체계적인 교육의 부족’이라고 답했고, △평신도의 의식 부족(23.3%) △목회자의 문제(18.6%) △헌금에 대한 부담(12.1%) △개인 생활의 노출(11.9%) △시설의 불편(8.8%) 순으로 답이 이어졌다.
적정 교인수가 얼마인가라는 물음엔 40.9%가 100~299명, 25.3%가 300~499명이라고 답해 전체 응답자의 3분의2인 66.2%가 100~499명의 중소형교회가 적정한 것으로 보았다.
한국 교회가 당면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복수로 답해달라는 질문엔 가장 많은 42.3%가 ‘목회자의 자질 부족’이라고 답했고, 다음으로 △신앙의 실천 부족(34.2%) △지나친 양적 추구(31.2%) △개교회주의(20.9%) △신앙 훈련의 부족(17.2%) △신학생 과다 배출(16.5%) 순으로 나타났다.
조현 종교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