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마음산책

“고통받는 지구촌에 평화를 심자”

등록 2008-06-06 18:10

[마음산책] 원불교 ‘정화인의 날’ 행사

‘정결은 연화같이, 지조는 송죽같이’ 500여 독신 여성수도자들 한곳에 어깨춤 추며 끼 발산…서로에 위안  
  ‘마치 하늘에서 500여 마리의 학들이 날아든 듯….’   지난 3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정원에서  흰저고리 검정치마를 입은 단정한 차림의 원불교 여성 교무 500여명이 사뿐사뿐히 걷는 모습을 본 일부 관람객들이 작은 탄성을 질렀다. 여성교무들이 집단으로 이곳에 들른 것은 이날부터 이틀간 국립중앙박물관, 북촌 은덕문화원, 경복궁, 창덕궁 등에서 펼쳐지는 ‘정화인의 날’ 행사 때문이었다.   ‘정화인’(貞和人)이란 평생 독신으로 수도하며 살아가는 원불교 여성 성직자들을 일컫는 말이다.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가 교단을 창립한 초기부터 세계 종교 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남녀가 동등한 권리를 누리고 책임을 지게 한 원불교에서 정화인들은 불과 93년째인 원불교가 국내 4대 종단으로 우뚝 서게 한 원동력으로 평가받는다. 단 한 푼의 돈과 음식, 시간도 허비하지 않고, 흐트러짐 없는 자태와 정결한 주위 환경을 유지하면서 이웃과 사회에 봉사하는 여성 교무들의 삶은 종교계 내에서도 경탄의 대상이다.

‘정화인의 날’은 이들이 3년 만에 한 번씩 여는 잔치다. 여성 수도자로서 평생 한길을 걸으면서 청빈을 집 삼고, 고독을 친구 삼으며, 헌신을 기쁨 삼고 살아가면서도 스스로 ‘위로’받을 기회는 많지 않은 도반들끼리 모여 서로에게 힘을 주고 힘을 받는 자리이다.  

박물관 콜렉션을 관람한 뒤 오후 2시 무렵 국립박물관 대강당에 ‘학’들이 모여 앉았다. 여성정화단 총단장은 이선종 서울교구장. 원불교 내 생명운동 단체인 천지보은회를 창립하고,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맡고 있기도 한 여걸이다. “여러분을 만나니 힘이 샘솟는다”고 입을 연 이 단장은 “정화인은 정산 종사(2대 종법사)가 ‘정결은 연화같이, 지조는 송죽같이, 덕화는 부모같이’ 하라고 붙여준 이름이라며, 곳곳에서 고통 받고 있는 지구촌을 정화인들이 생명과 평화의 땅으로 가꾸어 가자”고 말했다.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의 축사와 이어령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문화정체성’ 특강을 듣고 영화 <살아있는 지구>를 관람한 이들은 오후 6시쯤 차편으로 이번 축제의 백미인 야외 음악회가 열릴 북촌 은덕문화원으로 갔다.  그러나 막 모여들기 시작한 미국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문화제 참가자와 경찰버스들로 인해 광화문 일대를 관통하는 버스들이 옴짝달싹을 못했다. 때마침 비도 내려 야외음악회마저 불투명해졌다.  ‘난관’을 맞은 셈이다. 하지만 마음 씀씀이의 진가는 난관이 있을 때 나타나기 마련이다.  

은덕문화원은 5백여명을 모두 실내에 수용하기엔 턱없이 좁았지만, 이들은 ‘그게 무슨 대수랴’ 하는 표정으로 불평 없이 마당 주위와 처마 밑에 모여 앉았다. 캐나다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대학까지 졸업하고 부모의 고향에서 독신 수도자의 삶을 시작한 햇병아리 송상진 교무가 서툰 한국말과 특유의 생기발랄함으로 사회를 진행하면서 여성 수도자들은 한 우산 아래 들어온 듯 오붓해 보였다. 빗속에서 중앙대 국악대학장 김성녀씨가 등장했다. 그는 상기된 표정으로 “중학교 다닐 때 내 공부를 돌봐주던 이웃집 언니를 50여년 만에 이곳에서 만났다”며 “수재였던 그 언니가 왜 독신수도자의 길을 걷게 됐는지 이해할 수 없었는데, 아름답고 평안한 모습을 보니 이제야 언니가 왜 이 길을 택했는지 알 것 같다”고 말했다. 김씨의 노래가 시작되자 머리에 수건을 쓴 채 몇 교무들이 나와서 어깨춤을 추기 시작했다. 평소 정숙해 보이기만 한 여성 수도자들의 내면에 감춰진 끼와 신명을 엿볼 수 있는 순간이었다.  

5백여 ‘학’들이 함께 웃고 어깨춤을 추는 사이 비는 어느새 그쳐 있었다. 이를 지켜보던 원불교 수위단(최고의결기구) 중앙단원인 황영규 교무는 “비가 오든 무슨 어려움이 있든 일심으로 믿음과 정성을 이렇게 모으다 보면 어느새 즐거움 속에 있게 된다”며 활짝 웃었다.

그의 웃음 뒤로 음악회 말미에 마련된  영상 슬라이드에서 여성 성직자로서 고귀한 삶을 살다 간 육타원 이동진화 종사와 구타원 이공주 종사에 이어 용타원 서대인 종사의 사진과 글이 떠올랐다.  

“오늘 하루가 영생이요, 오늘 하루에서 좌우된다. 작은 일이 쌓여 큰 일이 되고 작은 공부가 쌓여 큰 공부가 되는 것이다. 지금 당장 착수하라. 실지로 하라. 쥐도 새도 모르게 하라. 그러면 열리고야 말 것이다. 정성은 만사 성공의 어머니, 만사 성공의 원천수, 만사 성공의 뿌리다.”

 

글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동영상 조소영 피디 azur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삶의 폭풍에 뿌리뽑히지 않으려면 1.

삶의 폭풍에 뿌리뽑히지 않으려면

부처님 보고 절에 가면 안 됩니다 2.

부처님 보고 절에 가면 안 됩니다

온누리교회 하용조목사 뇌출혈로 의식불명 3.

온누리교회 하용조목사 뇌출혈로 의식불명

하늘이 당신에게 시련을 주는 이유 4.

하늘이 당신에게 시련을 주는 이유

“하나님 ‘떠나라’ 목소리 들릴 때마다 뒤돌아보지 않았죠” 5.

“하나님 ‘떠나라’ 목소리 들릴 때마다 뒤돌아보지 않았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