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공석 장기화에도 선출 미적
대의원총회 요구는 거부하면서
이사 보선 추진…대행체제 강행
대의원총회 요구는 거부하면서
이사 보선 추진…대행체제 강행
인천시체육회의 회장 공석 사태가 장기화되자 정상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시체육회는 체육회장을 겸하던 전임 유정복 인천시장이 교체되면서 체육회장이 공석이 된 이후 2개월 동안 차기 회장에 대한 추대 또는 선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회장 대행인 강인덕 상임부회장이 전임 회장 때 구성된 이사회를 강화하려 하자 산하 경기종목단체 회장 등 대의원들이 반발하고 있다.
박준기 인천대 운동건강학부 교수는 14일 “규약에 따라 대의원 3분의 1 이상이 세차례나 차기 회장 추대 등을 위한 대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했는데 강인덕 직무대행이 절차상의 하자를 이유로 반려하고 있다”며 “직무대행은 월권행위를 중단하고 인천시체육회 정상화를 위해 하루빨리 새 회장을 추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직무대행은 최근 이사회 이사 보선을 추진했다. 이사회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최소 26명의 이사가 필요하지만 7명이 사퇴해 현재 19명에 불과하다. 강 직무대행은 이에 따라 서면 결의로 이사 보선을 추진했으나 대한체육회는 규정에 따라 대의원총회에서 이사를 선출하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일부 대의원들은 강 상임부회장의 임기인 2020년 2월까지 대행체제를 유지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종목 단체장의 경우 회장이 공석이 된 뒤 2개월이 지나도록 새 회장을 선임하지 않을 경우 관리단체로 지정되지만 시도체육회의 경우 따로 규정은 없다”면서도 “상식적으로 회장 없이 갈 수는 없다. 회장대행의 승인 없이도 대의원들이 총회를 열 수 있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인천시체육회 대의원들은 최근 강 회장대행을 상대로 4번째 대의원총회를 요구하고 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의원들은 이번에는 대의원 중 연장자를 대표로 해 독자적으로 대의원총회를 열 계획이다.
대한체육회는 2016년 국민생활체육회와 통합하면서 1기에 한해 단체장이 당연직으로 지역 체육회장을 맡도록 했다.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 단체장들이 교체되면서 누구라도 추대 또는 선출을 통해 새롭게 회장을 뽑을 수 있다. 체육회 관계자는 “군·구 단위에서 단체장이 아닌 사람이 체육회장이 된 사례는 있지만 광역인 17개 시도의 경우 단체장 이외의 사람이 회장에 오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도체육회의 경우 체육예산의 90%를 해당 자치단체가 부담하고 대한체육회는 10% 안팎을 보조하고 있다. 이찬영 기자 lcy10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