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야 샤라포바
약물 검출…“금지 몰랐다” 주장
출장정지 징계땐 선수생활 위기
출장정지 징계땐 선수생활 위기
“이런 방식으로 나의 경력이 끝나길 원치 않는다. 테니스를 다시 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정말로 희망한다.”
전날 ‘중대 발표’를 한다고 해놓고 침울한 표정으로 7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한 호텔에 나타난 마리야 샤라포바(29·러시아)는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호소했다. 금지약물인 ‘멜도니엄’ 복용 사실을 시인해 전세계에 충격파를 안긴 뒤다. “나는 나의 팬들을 실망시켰고, 내가 4살 때부터 시작했던, 그리고 그렇게 깊게 사랑했던 스포츠를 추락시켰다.”
샤라포바는 지난 1월26일 서리나 윌리엄스(미국)와의 2016 호주오픈 여자단식 8강전에서 패한 뒤 약물검사를 했는데 멜도니엄 양성반응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며칠 전 국제테니스연맹(ITF)으로부터 약물 테스트에 실패했다는 편지를 받았다”고 했다. 멜도니엄은 올해 1월1일부터 세계반도핑기구(WADA)에 의해 금지약물로 지정됐다. 마일드로네이트로도 알려져 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해 심장병 환자들에게 인기있는 약물이다. 라트비아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산소량과 지구력을 높여 많은 운동선수들이 이미 오래전부터 복용해왔다. 그러나 세계반도핑기구는 지난해 12월 선수들에게 이것이 금지약물이라고 고지했다. 러시아 등 동유럽권에서는 쓰이지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는 승인받지 못한 약물이다.
샤라포바는 2006년부터 10년 동안 부정맥과 가족력이 있는 당뇨병 때문에 이 약을 복용해왔는데, 올해 금지약물 리스트에 추가된 걸 확인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반도핑기구에서 보낸) 이메일을 열어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사태로 메이저대회 여자단식 5회 우승에 빛나는 샤라포바(세계 7위)는 앞으로 선수 생활과 2016 리우올림픽 출전에 중대 위기를 맞게 됐다. 세계반도핑기구의 크레이그 리디 회장은 <에이피>(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멜도니엄을 복용한 선수는 보통 1년 동안의 출장정지 처분을 받는다”고 밝혔다.
샤라포바의 도핑 양성반응이 알려지자 후원사인 나이키와 태그호이어 등이 즉각 거리를 두고 나섰다. 나이키는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후원관계를 일시 유예한다”고 밝혔고 태그호이어는 ‘후원계약을 연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