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외훈련·변경수 감독 자격회복
대한체육회가 거절하자 성명 내
대한체육회가 거절하자 성명 내
사격대표팀 지도자들이 “대한체육회가 대표팀의 경기력 향상을 돕기는커녕 현실과 동떨어진 탁상행정을 한다”고 비판하며 최종삼 태릉선수촌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김선일 사격대표팀 코치와 변경수 전 총감독을 포함한 지도자 12명은 14일 서울 태릉선수촌에서 성명서를 내어 “대한체육회에 대표 선수들의 5~6월 촌외훈련과 변 전 총감독의 자격 회복을 승인해달라고 요구했지만 거부당했고, 이에 책임을 지라는 뜻에서 최 선수촌장의 퇴진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대한사격연맹은 지난달 23일 경기력향상위원회를 열고 두 가지 주요 사안을 결정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제대회용 결선 사대가 있는 창원에서 5~6월 30여일간 대표 선수들의 훈련을 하는 것과, 지난해 10월 전국체육대회에 선수로 나갔다가 약물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6개월 자격정지를 당한 뒤 이달 7일 징계가 풀린 변 전 총감독의 자격을 회복시키는 것이었다. 김 코치는 “이 두 안건은 대표팀 선수들이 아시안게임과 세계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시급히 승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체육회는 진천선수촌에서 훈련하는 게 원칙이라며 촌외훈련 승인을 거부해왔고, 14일 경기력향상위원회에선 변 전 총감독이 대표팀의 품위를 손상시켰다며 자격 회복을 보류했다.
김 코치는 “창원에서 세 차례 국가대표 선발전이 열리는데 진천에서 창원까지 버스로 3~4시간 걸리고, 총과 실탄을 옮겨야 해 경찰청의 승인을 받으려면 번거롭다. 다른 실업팀 선수들은 창원에서 훈련을 하는데 대표 선수들만 진천에서 훈련하라는 건 오히려 역차별이다”라고 촌외훈련의 정당성을 설명했다. 변 전 총감독의 자격 회복에 대해서는 “지난 6개월간 변 총감독의 징계가 풀리기를 기다렸다. 선수들의 실력 향상을 위해 꼭 필요한 분이다. 지병 때문에 먹은 혈압약을 실수로 사전신고하지 않은 것인데 6개월이 지나 징계가 풀린 뒤에도 왜 자격 회복을 안 시켜주는지 이해가 안 된다”며 대한체육회와 최 선수촌장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재만 기자 appletr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