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희호, 레바논과 1대1 무승부
골결정·조직력·투지 ‘총체적 난국’
골결정·조직력·투지 ‘총체적 난국’
현대축구의 기본 실종
공간 패스·압박·끈질긴 공 소유…
레바논 감독 “한국은 모두 부족” 이동국 원톱 전술 한계
패싱게임 아닌 문전 타깃 ‘뻥축구’
골키퍼와 1대1 등 여러 기회 날려 수비라인 불안 지속
선수 자주 바뀌어 ‘모래알 조직력’
좌우풀백 오버래핑도 제대로 안돼 이것은 2002 한·일월드컵 4강 신화, 2010 남아공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 진출을 이룬 한국 축구의 모습이 아니다. 감독의 축구 철학과 색깔이 뭔지 알 수 없다. 선수들의 투지도 실종됐다. 조직력은 공격과 수비 모두 엉망이 됐다. 예리한 골결정력도 보이지 않는다. 패싱게임이 현대 축구의 대세인데, 거꾸로 뻥축구를 한다. 2014 브라질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을 치르고 있는 최강희호가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5일 새벽(한국시각) 레바논 베이루트의 스포츠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브라질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A조 6차전. 최강희 감독의 한국 축구대표팀은 졸전 끝에 후반 추가시간 7분 터진 김치우의 왼발 프리킥 골로 1-1로 비겼다.
3승2무1패 승점 11로 A조 단독선두로 나섰지만, 경기력에 대해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출발은 좋았지만, 최강희 축구가 진화하지 못하는 게 문제다. 답보상태이고 갈수록 경기력이 나빠지고 있다. 남은 2경기에서 과연 어떤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걱정된다.”(김대길 KBS N 스포츠 해설위원)
“한국 선수들은 뻔히 보이는 공간에 패스를 넣지 않았다. 공을 빼앗긴 뒤에 압박을 가하지 않고 지켜보고만 있었다. 너무 자주 공을 흘리는 실수도 저질렀다.”(테오 뷔커 레바논 대표팀 감독) 적장의 비판이 뼈아프다. 뷔커 감독은 “공간 침투, 강한 압박, 끈질긴 공 소유 등은 현대 축구의 기본을 이루는 것이다. 지적하기가 민망하지만 ‘한국의 약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이 나왔기 때문에 느낀 대로 답한다”고 꼬집었다.
4-2-3-1 포메이션에서 한국 선수들은 제대로 뛰지 못했고, 컨디션도 좋지 않은 듯했다. 투지 있는 플레이도 보여주지 못했다. 오른쪽 공격수로 선발 출전한 이청용 정도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기회를 만들어줬을 뿐, 대부분의 공격수들은 부진했다.
최강희 감독은 21살의 젊은 손흥민을 제치고 원톱으로 34살의 이동국을 투입시켰다. 이동국은 전반 45분 김보경이 골지역 중앙으로 파고들다 옆으로 내준 골 기회에서 어이없이 허공으로 슛을 날려버렸다. 후반 21분과 35분에도 두차례 골 기회를 잡고도 성공시키지 못했다. 후반 40분 아크 부근에서 강한 슛을 했으나 왼쪽으로 빗나가고 말았다. 김대길 해설위원은 “이동국 중심의 전술 운영 자체가 문제다. 전체적으로 선수들의 이해가 떨어지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동국 중심으로 공격을 운영하다 보니 한계에 부닥친다는 것이다.
조광래 감독 시절과 달리 뻥축구로 퇴화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선수들이 패스를 많이 하기보다는 이동국과 김신욱을 문전에 박아놓고 공을 띄우는 식으로 플레이를 한다는 얘기다. 신문선 명지대 교수는 “현대 축구는 속도전인데 대표팀이 뻥축구를 해야 하느냐? 손흥민을 좀더 일찍 투입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기본적으로 선수와 감독, 선수와 선수 간에 약속이 이뤄져야 팀이 안정화하는데, 대표팀은 전술적으로 안정감이 결여돼 있다”고 했다. 그는 “최강희 축구의 색깔이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수비 라인이 계속 바뀌어 조직력이 떨어지는 것도 최강희호의 단점이다. 이날 A매치 경험이 한번도 없는 한국영을 김남일과 함께 수비형 미드필더로 기용했다. 중앙수비 곽태휘는 A매치 경험이 한번밖에 없는 김기희와 짝이 됐다. 모험에 가까운 이런 기용은 모두 실패로 끝났다. 수비 라인은 하도 많이 바뀌어 곽태휘 빼고는 주전이 누구인지 모르는 상황이다. 활발한 공격 가담을 해야 하는 좌우 풀백에 김치우와 신광훈이 기용됐는데, 수비에 치중하느라 전진 공격이 이뤄지지 않았다. 김치우는 전담 키커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줬을 뿐이다. 이영표와 차두리의 후계자를 길러내지 못한 약점이 드러났다고 볼 수 있다.
신문선 교수는 “앞으로 우즈베키스탄, 이란과의 두 경기가 남아 있는데 불안하다”고 했다. 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채널A “북한군 오지 않았다는 근거 있느냐” 반발
■ 하나금융 부사장, 여직원 성희롱으로 사표
■ 이보다 더 나쁠 순 없다…최강희호 총체적 난국
■ 전북에서도 ‘안철수 신당’의 절반 민주당 지지율 ‘멘붕’
■ [화보] 1950년대 서울 명동, 뻥튀기 아저씨, 까까머리 아이...
공간 패스·압박·끈질긴 공 소유…
레바논 감독 “한국은 모두 부족” 이동국 원톱 전술 한계
패싱게임 아닌 문전 타깃 ‘뻥축구’
골키퍼와 1대1 등 여러 기회 날려 수비라인 불안 지속
선수 자주 바뀌어 ‘모래알 조직력’
좌우풀백 오버래핑도 제대로 안돼 이것은 2002 한·일월드컵 4강 신화, 2010 남아공월드컵 사상 첫 원정 16강 진출을 이룬 한국 축구의 모습이 아니다. 감독의 축구 철학과 색깔이 뭔지 알 수 없다. 선수들의 투지도 실종됐다. 조직력은 공격과 수비 모두 엉망이 됐다. 예리한 골결정력도 보이지 않는다. 패싱게임이 현대 축구의 대세인데, 거꾸로 뻥축구를 한다. 2014 브라질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을 치르고 있는 최강희호가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 채널A “북한군 오지 않았다는 근거 있느냐” 반발
■ 하나금융 부사장, 여직원 성희롱으로 사표
■ 이보다 더 나쁠 순 없다…최강희호 총체적 난국
■ 전북에서도 ‘안철수 신당’의 절반 민주당 지지율 ‘멘붕’
■ [화보] 1950년대 서울 명동, 뻥튀기 아저씨, 까까머리 아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