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팀 SSG 랜더스와 5년 장기계약을 마친 한유섬. SSG 랜더스 제공.
‘광풍’이란 말이 적합할 듯하다. 2021 프로야구 스토브리그가 그렇다. 벌써 1000억원 이상의 돈이 시장에 풀렸다.
자유계약(FA) 선수뿐만이 아니다. 올해부터 비 에프에이 선수에 대한 장기계약도 허용되면서 예비 에프에이에 대한 계약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에프에이 계약시장은 기아(KIA), 엔씨(NC), 엘지(LG)가 바람몰이를 했고 비 에프에이 계약시장은 에스에스지(SSG)가 주도했다.
기아는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나성범(6년 150억원), 양현종(4년 103억원)과 계약하며 253억원을 썼다. 나성범을 놓친 엔씨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박건우(6년 100억원), 손아섭(4년 64억원)을 영입하는데 164억원을 지불했다. 엘지가 김현수(4+2년 115억원)를 잔류시키고 박해민(4년 60억원)을 데려오며 쓴 돈은 175억원. 이들 세 팀은 따로 보상금도 원소속팀에 내야만 한다. 두산은 김재환을 잔류시키는 데만 115억원(4년)을 썼다. 삼성이 백정현(4년 38억원), 강민호(4년 36억원)를 눌러 앉히면서 쓴 액수(총 74억원)가 소소해 보일 정도다.
복수의 구단이 군침을 흘린 선수의 경우 몸값이 예상가보다 10~20억원 이상 뛰었다. 에프에이 영입의 경우 구단 고정 운영비가 아닌 그룹의 별도 지원금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그룹 지원만 있다면 총액 면에서 ‘+알파’ 베팅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선수 측 대리인도 이런 사정을 잘 알기에 전력 보강이 시급한 구단의 니즈를 잘 파고들었다. 때아닌 시장 과열로 에프에이 선수 영입 계획을 세웠던 몇몇 구단은 일찌감치 발을 빼기도 했다.
에스에스지는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단 1명의 에프에이 선수와도 계약하지 않았으나 기아 다음으로 많은 180억원을 썼다. 장기적인 팀 전력 안정을 위해 비 에프에이 선수들에 대한 장기계약 카드를 뽑아들었기 때문. 에스에스지는 팔꿈치 수술 뒤 재활 중인 박종훈, 문승원에게 각각 65억원, 55억원을 안겼고, 성탄절(25일)에는 한유섬과 5년 60억원 계약을 했다. 장기계약은 구단에는 큰 도박일 수 있지만 선수에게는 안정감을 주기도 한다.
26일까지 올해 스토브리그에서 풀린 돈은 1057억원. 에프에이 선수 11명에게 877억원, 예비 에프에이 선수 3명에게 180억원이 나갔다. 남은 에프에이 선수는 황재균, 박병호, 정훈, 허도환 등 4명이다. 과열된 스토브리그가 어느 시점에서 멈출지 지켜볼 일이다.
김양희 기자
whizzer4@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