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떡볶이, 등골이 오싹해

등록 2020-11-27 07:59수정 2020-11-27 08:47

한국에서 곧 내 책이 출간된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와 지금 관계를 담은 책이다. 안다. 얼마나 복잡한 이야기인지. 하지만 이전에 <한겨레>의 내 칼럼을 계속 읽어준 독자들에게만 살짝 고백하는 바인데, 사실 나는 이 책을 한국 음식을 실컷, 원 없이 먹어보려고 기획한 것이었다. 한국에 충분히 머무르면서 먹고 싶었던 한국 음식을 다 먹어보려면 한국에 관한 책을 쓴다는 것보다 더 좋은 구실은 없을 테니까. 한국에서 만난 분들은 내가 이런 목적을 가지고 왔으리라고는 생각 못 했으리라. 영국 출판사의 약아빠진 내 담당 편집자만이 나의 이런 속내를 알고 있었다.

한국에 오기 전에 서울에 대해 기대하는 바라든지, 선입견이라든지 하는 게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한국 음식이 자극적인 것은 물론 알고 있었고 일본보다 길거리 음식 문화가 다채롭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한국 음식이 적어도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일본 음식에 견줘 유사할 것이라고 막연하게 상상했다. 달라 봤자 오십보백보겠지. 내 입장에선 한국인과 일본인이 비슷해 보이는 것처럼.

그리고 깨달았다. 아마 한국에 온 이들 누구나가 뼈저리게 알게 되는 것이지만, 한국의 음식 문화는 일본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말이다. 한국인들도 쌀을 먹기는 한다. 그래. 이것은 알고 있었던 점이다. 하지만 당신들, 한국인들이, 쌀을 스푼으로 퍼먹을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 했을 것이다. 숟가락이라고 부르는 그것 말이다. 한국에도 ‘마키 롤’이 있었다. 아니 김밥이던가. 종류가 어찌나 많던지. 그중 누드 김밥이 재미있었다. 김이 안쪽에 들어가고 밥이 바깥쪽에 붙어 있는 발상이 신선했다. 아무튼 한국의 김밥은 일본의 마키와 전혀 다르더라. 단무지라 부르는 상쾌하게 아삭거리는 무 식초 절임도 들어가는 것 말이다. ‘단무지 빠진 김밥’은 핵심이 빠진 무엇을 가리키는 속어로 알고 있다. 난 비빔밥이 돈부리(덮밥) 비슷한 한 그릇 음식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한 그릇 음식이라는 점만 제외하고는 모든 것이 다른 음식이었다. 하지만 일본과의 가장 큰 차이는 고기 소비량일 것이다.(적어도 음식점을 기준으로 삼았을 때 말이다.) 삼겹살, 돼지갈비 전문점이 한국에는 아주 많았다. 식사 시간에 음식점을 방문하면 좀처럼 채소가 보이지 않는다. 내가 다닌 식당들이 이상했던 건지 모르겠지만, 사찰 음식을 알기 전까지 이러다 괴혈병에 걸리는 것은 아닐까 진지하게 걱정했다.

한식 맘껏 먹기 위해 한국 책 준비해
한국 음식과 일본 음식은 근본적으로 달라
누드 김밥 신기, 고기 많이 먹는 건 더 신기
이젠 김치를 정말 많이 사랑하게 된 나
나무젓가락 대신 쇠젓가락 사용 놀라워
과거 전쟁 나면 휴대할 무기였나

사실 나는 김치를 미처 채소로 생각하지 못했다. 그렇다. 한국에는 김치가 있다. 그리고 김치는 채소다. 아니 채소였던 것이다. 난 언제나 김치를 사랑했다. 이제는 전 세계 사람들도 김치와 사랑에 빠진 것 같다. 하지만 내가 한국에서 여행하는 동안 난 중독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푹 빠졌다. 아무리 먹어도 부족하게 느껴졌다. 한국에서는 아침 식사에도 김치, 김치전이라 부르는 피자에도 김치가 가득했다.

난 한국 속담 하나를 배웠다. 내가 틀리지 않았기를 바란다. ‘이열치열’, ‘불에는 맞불을 놓는다, 열은 열로 싸운다’라는 뜻이라는데 아마도 이 말은, 내 추측건대 한국의 잔인할 정도로 뜨거운 여름, 그 여름 중에서도 가장 더운 날에 전통 음식 중에서 가장 맹렬하게 뜨거운 음식을 먹으며 당신네가 잔치를 벌인다는 뜻이라고 이해했다. 보신탕, 삼계탕, 설렁탕 등 탕 종류는 왜 그리도 많은 건지. 아니 더우면 시원한 것을 먹어야지 왜 땀을 더 흘리게 만드는 음식을 먹느냐 말이다. 나한테 이건 말도 안 되는 모순적인 전략이긴 했지만, 이 자극이 강한 음식을 먹고 나니 말도 안 되게 개운해진다는 것을 깨달았다.

김치를 퍼먹다 말고 문득 한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아니, 일본의 그 수많은 전통 음식, 면 요리, 두부, 쌀, 차까지도 모두 일본에 도달하기 전에 한반도를 거쳤는데 어째서 김치는, 정확하게는 자극적인 것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의 입맛만큼은 어째서 대한해협을 건너지 못한 것일까? 궁금했다. 고추냉이도 뜨겁긴 하다. 산초도 입천장 피부를 벗겨낼 정도로 강하고 일본 명란젓은 매우 맵지만, 이 정도가 일본에서 가장 자극적인 요리를 일부러 추린 것이다. 그렇다고 한들 김치가 주는 적당하면서도 펑키하고 발효된 고추가 주는 매운 자극과는 전혀 다르다. 특히나 각별했던 요리가 있다. 떡볶이라는 것인데, 지금 생각해도 등골이 오싹하다. 난 떡볶이를 주문하면서 일본의 모찌가 떠올랐다. 모찌는 점잖고 부드럽고, 사람에게 위안을 주는 음식이니까 떡볶이도 ‘그렇겠지’라고 상상했다가 세입 먹고 말도 못할 거대한 통곡의 벽을 만나 무너지고 말았다. 너무 매웠고 너무 아팠다. 혀가 떨어져 나갈 것 같았고 머리가 지끈거렸다. 하지만 아직도, 용기를 내서 종종 먹곤 한다. 떡볶이는 욕 나오게 맛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게 있어 가장 큰 인지 부조화를 일으킨 것은 아마도 한국인들이 나무젓가락 대신 쇠젓가락을 쓰는 것이었다. 사소한 차이처럼 보일 수 있지만 쇠젓가락은 전혀 다른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이고, 나무젓가락과 비교하면 훨씬 더 많은 악력을 필요로 한다. 한국에서 집으로 돌아와서 일주일이 흘러도 쇠젓가락을 집었던 오른손이 저리더라. 나 같은 서양인에게 날렵한 쇠젓가락을 손가락 사이에 고정하고 힘을 전달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쇠젓가락 선호에 대해 내가 만난 한국인들이 여러 이론을 제시해주었다. 제일 인기 높은 설명은 경제성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예전에 어려웠던 시절에는 얼마든지 또 사용할 수 있는 쇠젓가락이야말로 몇 번 쓰지도 못하고 버려야 하는 나무젓가락에 비해 사랑을 받을 수밖에 없었으리라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 1950년에서 1953년 사이에 치러진 전쟁으로 한반도의 산림이 초토화되었다는 점도 한몫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수 세기 거슬러 올라가 한국 역사에 관하여 읽으면 읽을수록, 더 많이, 더 폭넓게 독서를 할수록 내게는 위의 경제성 이론과는 다른 이론이 만들어졌다. 만약 이 땅의 모든 한국인이 식사를 하기 위해 쇠젓가락을 사용한다면 이는 곧 전체 인구가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무기를 늘 가까이에 두고 생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박물관에 들렀다가 고분에서 출토된 젓가락을 본 적이 있는데 요즘 것보다 더 길고 무섭게 생긴 것을 보았다. 아마 한국인들은 이웃 국가들이 갑자기 쳐들어올 때를 대비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냥 나 혼자 그렇게 생각했다는 말이다.

글 마이클 부스(푸드 저널리스트), 일러스트 이민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연애하러 ‘러닝 크루’ 모임 하냐”는 이들은, 대부분 달리지 않아요 [ESC] 1.

“연애하러 ‘러닝 크루’ 모임 하냐”는 이들은, 대부분 달리지 않아요 [ESC]

[ESC] 소곤소곤 내 뒷말, 어떻게 하지? 2.

[ESC] 소곤소곤 내 뒷말, 어떻게 하지?

[ESC] “12~14시간 공복은 건강 유지의 기본” 3.

[ESC] “12~14시간 공복은 건강 유지의 기본”

화분 하나로 내 방에서 만나는 ‘작은 아프리카’ [ESC] 4.

화분 하나로 내 방에서 만나는 ‘작은 아프리카’ [ESC]

연탄불에 보글보글 끓던 빨간 국물 5.

연탄불에 보글보글 끓던 빨간 국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