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우리 쌀로 만든 우리 술이 더 맛있지 않을까?

등록 2019-11-13 19:30수정 2019-11-14 02:38

이대형의 우리 술 톡톡

‘술을 만드는 건 쉽다. 하지만 맛있는 술을 만드는 건 어렵다.’ 강의 때마다 자주 하는 말이다. 술을 만드는 원료는 쌀, 누룩, 물 3가지이다. 이 원료들을 섞기만 하면 초보자도 술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발효가 끝날 때까지 관리를 잘해야만 맛있는 술이 탄생한다.

술 품질은 원료가 좌우하기도 한다. 우리 술이라 불리는 탁주, 약주, 증류식 소주의 원료는 주로 쌀과 밀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14년 주류산업정보 실태조사를 보면, 전체 술 제조 원료에서 쌀과 밀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45%, 52%다. 하지만 이 쌀의 64.2%가 외국에서 수입한 것이다. 특히 일반 주류로 분류되는 탁주는 67.8%가 수입쌀로 빚는다. ‘무늬만 우리 술’이란 말이 나올 정도다.

수입쌀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 때문이다. 2018년 한 해 쌀 수입량은 약 40만t이다. 이 수입쌀의 가격은 1㎏ 564원(단립종 기준)이다. 2018년 정부미(나라미) 1㎏이 2274원인 것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이다. 햅쌀은 1㎏당 2500~2800원인데, 수입쌀과 비교하면 가격 차이가 더 크다. 지난해처럼 쌀 가격이 올라가면 국산 쌀로 술을 만드는 양조장의 부담은 더 커진다.

이런 이유로 수입쌀을 사용하는 양조장을 비난할 수 없다. 양조장도 이익을 내야 운영할 수 있다. 국산 쌀로 술을 빚는 양조장에게 혜택이 돌아가면 상황은 달라질지 모른다. 어떤 혜택이 있을까?

먼저 감면 혜택을 줘야 한다. 현재 주세(酒稅)는 원료 원산지와 관련 없이 막걸리 5%, 약주 30%, 소주 72%로 동일하다. 물론 법적으로 국산 쌀로만 만들게 돼 있는 전통주(민속주·지역특산주)는 주세를 반으로 감면해주고 있다. 하지만 주세 감면 대상 용량은 발효주 200㎘(750㎖ 약27만병), 증류주 100㎘(375㎖ 약27만병) 이하로 매우 적은 양이다. 감면량이 증가하면 더 많은 전통주가 절세 혜택을 받을것이다. 더 많은 우리 술이 세상의 빛을 보지 않을까.

한편, 근본 문제인 국산 쌀 가격을 낮추면 그것도 혜택이 된다. 방법은 여러 가지다. 쌀 품종 중에 같은 면적에서 1.5배 많은 양의 쌀이 생산되는 다수확 쌀이 있다. 몇몇 양조장은 농가들과 다수확 쌀 계약재배를 하고 있다. 다수확 쌀 계약재배는 농가의 판로개척 부담도 줄여준다. 양조장은 방금 도정한 품질 좋은 쌀을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받는다. 물론 다수확 쌀 계약재배라도 수입쌀보다는 비싸다. 이런 점 때문에 계약재배 농가에 한해 쌀 보관 및 운반비 등에 대해 정부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정에서의 쌀 소비는 계속 줄고 있다. 술은 쌀로 만드는 가공제품이다. 이런 가공식품의 원료 대부분이 수입쌀이라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국산 쌀 소비 증진 대책에 우리 술 제조만 한 게 없다. 우리 술의 과감한 규제 완화와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 술을 우리 쌀로 만드는 게 당연해졌으면 좋겠다. 너무 내 생각만 주장했나 싶기도 하지만, 옛 어른들처럼 우리 땅에서 생산되는 신선한 재료로 술을 빚으면 더 맛있지 않을까.

글·사진 이대형(경기도농업기술원 농업연구사·전통주갤러리 자문위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사바이사바이 vs 빨리빨리 1.

사바이사바이 vs 빨리빨리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2.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 746자 3.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 746자

차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에 ‘천상의 설원’이 [ESC] 4.

차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에 ‘천상의 설원’이 [ESC]

남해의 맛…멸치회 멸치튀김 멸치쌈밥 다 먹고 싶네 5.

남해의 맛…멸치회 멸치튀김 멸치쌈밥 다 먹고 싶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