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집에서 끓여 먹는 굴짬뽕!

등록 2015-12-23 20:31수정 2015-12-24 11:08

사진 박찬일 제공
사진 박찬일 제공
[매거진 esc] 국수주의자 박찬일
그다지 냉장 설비가 좋지 않던 과거에도 재래시장에 가면 늘 철마다 수산물을 팔았다. 요새는 마트가 그 자리를 대신하는 경우가 많은데, 속사정은 모르겠으나 다양성이 많이 떨어진다. 선도 문제나 그밖의 곤란(이를테면 매년 되풀이되는 홍합 독소 같은)을 미리 피해가려는 인상을 준다. 그러니, 제철이다 싶게 만날 수 있는 수산물이 드물다. 겨울에 어김없이 깔리는 건 굴 정도다. 그것도 대다수는 봉지에 담겨 그다지 맛있어 보이지 않는 자그마한 포장 굴이다. 굴은 역시 재래시장에서 푹푹 퍼주는 잔굴이 최고다.

우리나라 굴이 세상에서 제일 싼 축에 속하는 건 알려진 사실이다. 이웃 일본만 해도 굴 값이 만만치 않다. 이런 싼 굴 값은 생산량이 많기도 하거니와, 노동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굴 관련 일을 하는 노동자들의 임금이 낮다는 뜻이다. 박신장(굴 까는 작업장)에서 까낸 굴 1㎏을 만들어야 2000~3000원이라고 하니 그 고됨을 짐작하겠다.

그래도 겨울 굴은 맛있는 재료다. 전으로 국으로 무침으로 갖가지 요리를 해먹는데, 맛은 기막히다. 나는 굴이 들어오면 자주 해먹는 음식이 있다. 요리 노동자들은 늘 시간에 쫓긴다. 이들 밥상이 더 부실한 경우가 많다. 요리 생활 20년에 위장병을 안 얻으면 이상하다는 말도 있다. 일반 노동자는 대개 밥 먹는 한 시간이 보장되어 있지만, 요리사는 대부분 일터가 식당이고 식당이 식탁이라 밥 먹는 일과 밥하는 일이 혼동되어 있다. 심지어 시내 작은 밥집에 서너 시경 가보시라. 밥 먹다 말고 주문을 받아 주방으로 들어가는 수많은 노동자들!

하여튼 이런 분위기 탓에 라면이 주식이 되곤 한다. 다행(?)인 건 이것저것 가미를 해서 먹는다는 정도다. 겨울에는 굴이다. 굴탕면을 만들어 먹는 것이다. 먼저 냄비에 약간의 기름을 두르고 양파와 마늘, 대파를 볶는다. 굴을 넣고 한번 슬쩍 볶은 뒤 굴만 건져둔다. 그리고 물을 넣고 라면을 끓인다. 마지막에 건져두었던 굴을 넣고 먹는다. 뽀얗고 회색을 띠는 국물이 마치 중국식 굴탕면을 닮았다. 맛도 썩 괜찮다. 라면이야말로 우리들의 미각에 완벽하게 부응하는 맛을 자랑하니까.

올겨울엔 새로운 레시피를 찾아냈다. 바로 각 회사에서 심혈을 기울여 출시한 짬뽕이 대상이다. 앞서 굴탕면처럼 끓여도 되고 다른 방법도 있다. 바로 부추 굴짬뽕! 먼저 돼지비계나 기름을 한큰술 냄비에 넣고 송송 썬 대파를 볶는다. 향이 나면 짬뽕면 봉지에 써 있는 대로 끓인다. 보통 5분이 끓이는 시간인데, 4분이 되면 분량의 굴을 넣는다. 알맹이 굵은 굴을 기준으로 10개가 1인분. 30초 더 끓이고 불을 끄고 30초 기다린다. 굴에 뜸을 들이고 부드럽게 익히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준비한 부추를 넣는다. 부추는 뿌리 부분을 잘 씻지 않으면 흙냄새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박찬일 요리사·음식칼럼니스트

레시피

● 재료: 시판 짬뽕 1봉지, 대파 흰 부분 약간, 식용유 1큰술, 굴 10알, 부추(옵션) 약간

● 만들기: 냄비에 기름을 넣고 썬 대파를 볶는다. 봉지에 써 있는대로 면을 끓인다. 4분이 지나서 굴을 넣고 30초 더 끓이고 불을 끈 후 30초 기다린다. 부추를 넣고 맛있게 먹는다. 맛없으면 면 값 환불해드릴 용의 있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사바이사바이 vs 빨리빨리 1.

사바이사바이 vs 빨리빨리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2.

결혼을 약속한 남친이 있는데 다른 남자와 자고 싶어요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 746자 3.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 746자

차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에 ‘천상의 설원’이 [ESC] 4.

차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곳에 ‘천상의 설원’이 [ESC]

남해의 맛…멸치회 멸치튀김 멸치쌈밥 다 먹고 싶네 5.

남해의 맛…멸치회 멸치튀김 멸치쌈밥 다 먹고 싶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