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금천교시장 기름떡볶이 할머니를 추억하며

등록 2015-11-13 09:55수정 2015-11-13 11:44

사진 <수요미식회> 장면 갈무리
사진 <수요미식회> 장면 갈무리
[박미향 맛 기자]
누구를 떠나보낸다는 것은 설사 피붙이가 아니더라도 서러운 일이다. 물어보고 싶은 말이 남아있고, 흔적 한 조각이라도 부여잡고 싶다면 그 미련은 말로 다 할 수 없다. ‘금천교 기름떡볶이 할머니’는 내게 그런 분이다. 서울 종로구 금천교시장에서 40년 넘게 기름떡볶이를 팔아온 김정연 할머니의 별세 소식이 날벼락처럼 날아왔다. 김 할머니는 지난 3일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8세.

김 할머니는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전 개성에서 잠시 서울로 내려왔다가 전쟁 때문에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평생을 가족을 그리워하며 살았다. 재혼도 할 만한데 김 할머니는 그러지 않았다. 지금도 귀에 울린다. “언제 다시 만나게 될지 모르는데….” 김 할머니는 통일을 기다렸다. 금천교시장 길을 도란도란 떠들고 다니는 아이들을 보면 북에 두고 온 세 딸들이 더 그리웠다. 주변의 지인들은 할머니가 북에 두고 온 자녀들에게 밥 한 끼 제대로 해주지 못했다며 늘 탄식하셨다고 전한다. 그래서일까? 김 할머니는 유난히 학생들에게 후했다. 가정형편이 어려워 보이는 아이들에게는 돈을 받지 않고 떡볶이를 주는가 하면 심지어 꼬깃꼬깃 접은 돈을 건네기도 했다.

내가 할머니를 처음 안 것은 대략 5~6년 전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우연히 금천교시장을 찾았다가 무쇠솥뚜껑에 손가락 두 마디 정도 크기의 떡볶이를 볶아 파는 김 할머니를 발견하고 방앗간 참새처럼 끌렸다. 김 할머니의 맛은 허리도 펴지 않은 채 손녀에게 깨를 버무려 한과를 만들어줬던 나의 외할머니의 그것과 같았다. 20여 년 전 돌아가신 외할머니가 금천교시장에 있었다. 김 할머니는 간장 등의 양념을 넣어 볶았는데, 쫄깃하면서도 단맛이 적어 자꾸 집어먹게 되는 마력을 발휘하곤 했다. 두툼한 쌀떡의 과도한 물컹함이 없는, 70년대 얇디얇은 밀가루떡볶이를 연상하게 하는 그 맛을 이제는 볼 수 없다. 식도락가들에게는 세상 한쪽을 잃어버린 것처럼 비극적인 슬픔이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금천교시장 근처를 지날 때면 반드시 김 할머니를 만났다. 떡볶이가 떨어진 날이면 엉덩이 반쪽만 겨우 들이밀 수 있는 작은 의자에 앉아 김 할머니가 빠른 손놀림으로 만드는 떡볶이를 구경하곤 했다. 5000원이면 푸짐했다. 한번은 주문을 하고 뚱뚱한 까만 봉지를 받아들었는데 현금이 없어 난감했던 적이 있었다. 난처한 표정을 짓고 있는 내게 김 할머니는 “그냥 가, 다음에 줘”라고 했다. “근처 은행에 다녀올 게요”라고 하자 할머니는 고집을 부렸다. “다음에 줘.”

김 할머니의 떡볶이를 기사화한 적은 없다. 마주 보고 두런두런 김 할머니의 역사를 묻곤 했는데 늘 “뭐 하러 물어?” 하며 나의 호기심을 타박하시곤 했다. 하지만 그 소리가 싫지 않았다. 기자로서 책임과 의무는 방기했는지는 몰라도 단골로서 의리는 지켰다. 내가 쓴 기사로 인해 손님들이 몰려들었다면 김 할머니는 원치 않은 인기로 손마디의 주름이 더 깊어졌을 것이다. 대신 누군가 그 동네 ‘기름떡볶이’에 관한 ‘썰’을 풀어놓으면 “통인시장의 기름떡볶이보다 금천교시장 할머니 기름떡볶이가 더 좋다”는 의견을 피력하곤 했다.

5~6년 전 떡볶이 취재차 김 할머니를 만나 대화를 나눴다는 음식칼럼니스트 황교익씨도 추억이 많다. “모든 실향민에게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슬픔 같은 것을 그분에게서 봤다”면서 “평생 북에 두고 온 자식들을 그리워하시면서 시장 좌판에서 장사를 하신 그 분의 삶을 듣는 것 자체가 고통이었다”고 한다. 결국 취재를 포기하고 술 한 잔 하러 갔다는 그는 유난히 사진 촬영을 싫어했던 할머니를 추억하면서 “영혼이라도 고향에 가 자식들을 만나서 평안을 찾으시길 바란다”고 추모했다.

김 할머니의 가게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와인바 ‘오그랑베르’를 운영하는 작가이자 음식칼럼니스트 박준우씨는 “무섭게, 순식간에 변하는 골목에서 수십 년간 한 자리를 지켜왔던 할머니를 보며 안도감을 느꼈다”면서 “할머니의 포근한 기운이 그리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일반인들의 추모도 이어진다. 트위터 등 에스엔에스(SNS)에선 추모의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배고프지 않아도 가끔 인사 삼아 들러 떡볶이를 산 적도 있었다. 명복을 빕니다”(@moon_on_rivers), “왠지 한 시절이 간 느낌이다. 명복을 빕니다”(@baxacat) 등.

지금 가게 터에는 김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알리는 글이 붙어 있다. 단골 고객 한 명이 붙였다고 한다. 김 할머니는 지난 7월14일 서울 종로구 사직동 김찬식 동장과 변호사 입회 아래 자신의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유언을 남겼다. 종로구 사회복지협의회는 김 할머니가 기부한 집 전세금 7000만원과 예금 일부로 김 할머니 이름의 장학 사업을 운영할 예정이다. 김 할머니는 장례를 마치고 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추모공원에 묻혔다.

1917년에 태어나 질곡의 한국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버텨내신 김 할머니. 그토록 원하던 가족과의 재회의 꿈을 끝내 못 이루고 떠나신 김 할머니. 하늘에서라도 평안하시길.

박미향기자mh@hani.co.kr, 사진 <수요미식회> 장면 갈무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