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 타고 자전거 타고 가을 바람 타고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열차와 자전거 여행 접목시킨 테마 상품 인기
자전거 이동로 확충과 차량 운전자 인식 변화는 언제
열차와 자전거 여행 접목시킨 테마 상품 인기
자전거 이동로 확충과 차량 운전자 인식 변화는 언제
자전거 타기 좋은 철이 돌아왔다. 황금빛 들녘으로 선선한 바람 가르며 맘껏 페달을 밟아보고 싶어지는 때다. 예년과 다른 건 자전거 바람이 유례없이 뜨겁다는 점이다. 자전거 바람은 꾸준히 불어왔으나, 이번 바람은 하향식이란 게 좀 다르다. 대통령부터 지자체장까지, 4대강부터 논두렁길까지 자전거 얘기로 뜨겁다. 자전거회사 주식은 급등하고, 자전거보험이 다시 등장했다. 전국자전거도시협의회도 만들어졌다.
자전거 타는 이들이 느는 배경엔, 자전거가 공해를 덜 발생시키는 친환경적 이동수단이면서 건강을 지키기 위한 레저활동 수단이란 매력이 깔려 있다. 이런 매력에 끌려 자전거를 타기 시작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부닥치는 문제는 도심 이동이다. 강변길·산길을 따라 조성한 자전거길은 아름다우나, 당장 집에서 그곳까지 이동하는 데 문제가 생긴다. 강변이나 산길에 조성한 자전거길 외에 대·소도시를 불문하고 자전거 전용도로, 보관시설 등을 일부라도 갖춘 곳은 손에 꼽을 정도다. 일반 도로를 따라 자전거로 무리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다. 자전거 이용자를 대하는 차량 운전자들의 의식수준도 낮다. 자전거 도시라고 알려진 곳들도 들여다보면, 한두 곳을 제외하곤 비좁은 인도에 줄을 긋고 자전거도로라고 부르는 정도의 수준이다.
자전거 휴대하고 지하철 이용도 가능해져
어쨌든 지금 당장 자전거를 타고 도시 안팎을 달리며 여행한다는 건 무모해 보인다. 그럼에도 자전거 이용 인구가 급증하는 건 건강·여가생활에 대한 욕구가 커졌기 때문이다. 열풍이 위에서 불어오거나 밑에서 불거나 자전거는 꾸준히 사랑받아온 친환경적 이동수단이자, 삶에 활력을 주는 레저활동 도구다.
그런 점에서 최근 잇따라 선보이고 있는, 열차를 이용해 다녀오는 장거리 자전거여행 방식이 신선하게 다가온다. 자신의 자전거를 열차에 싣고 여행지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공해 발생이 덜한 친환경적 두 교통수단의 결합이다. 장거리를 자전거로 이동하는 부담을 덜면서, 자전거 타기 좋고 볼거리 많은 지역으로 편안히 이동해, 자신의 자전거로 구석구석 둘러보며 즐기는 형태다.
지난 6월 경원선 성북역~동두천 구간에 4량의 자전거 전용칸을 갖춘 자전거 테마 전용열차가 처음 운행돼 큰 인기를 끌었다. 동두천 왕방산 자전거 전용도로(35㎞)와 연계한 열차상품이다. 산악자전거 동호회 회원들이 화물칸에 자전거를 싣고 영월이나 정선 등 산악자전거 코스로 떠나는 경우는 있었으나, 자전거 전용칸을 마련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전거 열차를 운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첫 운행 열차가 매진 사태를 빚자, 코레일은 지난달 30일에도 왕방산 엠티비(MTB·산악자전거) 챌린지대회에 맞춰 자전거 전용열차를 다시 운행했다. 코레일과 동두천시는 앞으로 자전거 열차를 정기 상품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지난 12일엔 경주 문화유적지를 자전거로 둘러보고 돌아오는, 장거리 ‘에코레일 자전거여행 열차’를 운행해 성황을 이뤘다. 신종 플루 우려 속에서도 220여명의 자전거 애호가들이 참가해, 경주에서 자신들의 자전거로 문화유적지를 둘러보고 돌아오는 당일 자전거여행을 즐겼다.
코레일 쪽은 앞으로 경의선(서울~문산), 경춘선(망우~마석~춘천역) 구간에도 자전거 전용칸을 마련하는 등 자전거 전용열차 운행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중앙선 전철(용산~국수)엔 이미 지난 6월부터 자전거를 싣고 탈 수 있는 전용칸이 선보였다. 중앙선 전철 전동차의 맨 앞칸과 뒤칸 두 량을 전용칸으로 지정했다(평일엔 출퇴근 시간 제외한 오전 10시~오후 3시 이용 가능). 코레일 집계에 따르면 평일 20~30명, 주말엔 150~200명이 자전거 전용칸을 이용한다. 자전거를 들고 중앙선 열차를 탈 수 있는 역은 현재 이촌·서빙고 등 14곳. 올해 안에 한남·옥수·응봉역을 추가하고, 역마다 자전거 이동용 경사로를 설치할 예정이다.
철도와 연결되는 지하철에서도 자전거 휴대가 가능해졌다. 서울시는 지하철 1~8호선 전동차의 맨 앞칸과 뒤칸 한쪽에 자전거 거치대를 설치한 자전거 전용칸을 운영하기로 했다. 오는 10월부터 시범운영(일·공휴일)을 거쳐 내년 4월 이후 본격 운행할 예정이다. 주요 역사에 자전거 진출입용 경사로와 개·집표기를 설치하고, 일부 역엔 자전거 보관시설도 설치하기로 했다. 부산 지하철은 이미 지난 6일부터 3호선 구간에서 자전거 휴대탑승 시범운행을 시작했다(일·공휴일).
자전거 이용객을 위한 이런 편의시설 확충에도 문제는 남는다. 일반도로 이동로와 보관소 등 기반시설, 자전거 이용자를 바라보는 차량 운전자들의 시각이다. 급증하는 자전거 인구로 이제 자전거 이동로는 일반 차도·인도처럼 도로 건설 때 꼭 갖춰야 할 필수시설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주요 도시 자전거여행은 목숨 건 결단
자전거 애호가 정종호(51·남양주시 오남리)씨는 “국내 주요 도시를 자전거로 여행하는 건 목숨을 건 결단이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올 초까지 1년간 아시아·유럽·아프리카를 자전거로 여행하고 돌아온 그는 “중국은 자전거왕국답게 도시간 주요 도로의 1개 차선을 자전거에 내주고, 유럽 도시엔 시내·외곽을 가리지 않고 전용로가 마련돼 있다”고 전했다. 그는 “유럽의 경우 도로뿐 아니라 차량 운전자들의 자전거에 대한 배려가 특히 인상적이었다”며 “자전거가 안전하게 앞서나갈 때까지 끈기 있게 기다려 줘 감동을 받은 적이 많다”고 덧붙였다.
자전거 전용도로와 시설은 자전거 여행자들을 위한 배려이기 전에 새로운 관광 인프라를 닦는 토대일 수 있다. 편리한 자전거도로는 곧 관광자원이다. 주민들이 이용하기 편리해야 관광객도 몰려온다.
글 이병학 기자 leebh99@hani.co.kr·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자전거 이동로 확충과 차량 운전자 인식 변화는 언제
열차와 자전거 여행 접목시킨 테마 상품 인기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