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출입이 통제된 자양동 혜민병원 선별진료소에 병원 관계자들이 검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내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의 병상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달까지 중환자 병상 110개를 확보하기로 긴급 대책을 세웠다.
2일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전날 기준 국내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104명으로 처음 세자릿수를 기록했는데 중환자가 즉시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턱없이 부족해 ‘병상대란’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국내 코로나19 위·증중 환자는 이날 20명이 늘어 현재까지 124명이다. 수도권의 중증환자 치료병상은 어제 기준 319개에서 306개로 13개가 감소했다.
정부는 우선 코로나19 위·중증환자를 위한 병상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김강립 조정관은 “긴급하게 이번 달까지 코로나19 중증환자만을 위한 병상을 110개까지 추가 확보하겠다”며 “일반 환자도 입원 가능한 중증환자 병상을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원 지정을 통해 코로나19 중증환자만 입원 가능한 병상으로 확보하겠다. 지정된 전담병원에 대한 손실보상과 인센티브를 통해 병상을 확충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조정관은 또 “중증환자 치료병상에 국방부 군 인력을 투입하고 중증환자 전담 간호사를 양성하는 한편, 에크모 등 필요 장비도 즉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부는 코로나19의 대규모 전국 확산에 대비해 권역별 감염병 거점전담병원을 지정한다. 김 조정관은 “연말까지 각 권역별로 중환자 치료에 문제가 없도록 각 권역별 감염병 거점전담병원을 지정하겠다”며 “이 거점병원들이 권역 내 환자분류와 병상 배정을 총괄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같은 방식으로 이달까지 110개 병상, 연말까지 103개 병상을 차례로 늘려 내년 상반기까지 496개 병상을 확충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이렇게 되면 현재 511개의 중증환자 치료병상에 500여개의 중증환자 치료 병상을 추가로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전공의 등 의료진의 집단진료 거부 사태와 관련해 의사단체와 합의가 되는 부분은 존중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현재 국회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 및 의사협회와 함께 논의하고 있는 부분들에 대해 결과를 기다리면서 충분히 합의가 되는 부분들은 존중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공의 단체가 요구하고 있는 ‘정책 철회·원점 재검토 명문화’에 대해선 “정부가 한다, 안한다를 결정할 문제라기 보다는 국회 논의과정에서 충분히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