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 오른쪽 두번째)이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이탈리아와 이란, 일본, 미국 등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9일 특별입국절차를 확진자 급증 지역에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굉장히 빠른 속도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며 “국내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는 것과 함께 국외로부터의 추가 유입을 억제하는 조치가 병행돼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기존의 통상적 검역에 더해 진행되는 특별검역절차를 좀 더 확대할 수 있을지 검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방역당국은 중국 본토와 홍콩·마카오발 입국자에게는 일대일로 발열검사를 받고 건강상태를 보고하게 하는 등의 특별입국절차를 적용하고 있다. 이날부터 일본 입국자에게도 같은 조처가 적용되고 있다. 중대본 집계를 보면, 이날 현재 한국을 제외한 96개국에서 10만1천여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고 3700여명이 숨졌다. 이탈리아와 이란에서는 확진자가 각각 7375명(366명 사망)과 6566명(194명 사망)에 이른다.
다만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탈리아나 이란의 코로나19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입국자는 코로나19 발생 전과 비교해 80% 감소했다. 입국으로 인한 위험도를 살펴보며 향후 적절한 조처를 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이란은 현재 국내 입국자가 없고 이탈리아는 하루 50명 미만의 입국자가 있다는 설명이다.
정 본부장은 “코로나19 발생국이 늘어나면 한두 나라만을 대상으로 일대일 검역을 하기는 쉽지 않다.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입국 당시 정확한 검사나 보건교육·상담을 하는 검역 체계로 전환하는 게 적절하다”며 “어느 시기에 검역 체계를 전환할 것인지는 유행 상황을 더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도 이탈리아 등 유럽여행을 다녀와서 확진된 사례가 4~5건 있다. 여행으로 인한 것인지 다른 감염경로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이탈리아 내 이동제한 지역에 한국인 2200여명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이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 상황에서는 항공편을 비롯한 교통편이 완전히 끊긴 상황은 아닌 만큼, 임시 항공편이나 전세기 투입은 추이를 지켜보며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탈리아 정부가 지정한 이동제한 지역은 롬바르디아주 전체와 베네치아, 베네토, 피에몬테 등 모두 15개 지역이다. 또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이란 내 한국인들을 철수시키기 위해 이번주 중 전세기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외교부는 밝혔다. 이날까지 80명 이상이 탑승 의사를 밝힌 상태다.
노지원 김소연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