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언론시민연합과 언론노조 등 시민단체로 구성된 ‘방송독립시민행동’이 25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은 윤석열 검찰총장 명예훼손 사건에 대한 수사를 중단해야 한다”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한겨레>의 보도가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기자 등을 검찰에 고소한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해 시민단체가 ‘셀프수사’를 중단하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앞서 한겨레는 건설업자 윤중천씨의 윤 총장 접대 진술에 대한 부실 수사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과 전국언론노동조합 등 시민단체가 꾸린 ‘방송독립시민행동’은 25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은 윤석열 검찰총장 명예훼손 사건에 대한 수사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우리 사회에는 이런 과정(언론과의 갈등)을 다툴 수 있는 언론중재위원회 등의 장치들이 마련돼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언론중재위원회 등을 통해 양측의 주장을 면멸히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검찰총장은 이런 절차를 밟지 않고 검찰의 수장 신분으로 즉각적으로 검찰에 고소부터 하고, 부하 검찰이 직접 수사에 착수했다. 상명하복 체제에서 총장 본인이 분노를 표하며 명예를 훼손당했다고 하는 사안에 도대체 어떤 검사가 공정한 수사를 할 수 있겠는가”라고 주장했다.
이어 방송독립시민행동은 “지금이라도 검찰이 검찰총장 명예훼손 사건에 대한 수사를 중단해야 한다. 윤 총장은 즉각 고소를 취하하고 그것도 어렵다면 이번 사건을 경찰에 이첩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장에 모인 이들은 윤 총장의 <한겨레> 고소를 두고 “검찰권력의 사유화”라고 비판했다.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은 “검찰총장도 언론 보도로 명예훼손이 되면 구제수단을 쓰는 걸 원천적으로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윤 총장의 행태는 너무나 편파적이고 감정적이어서 비판의 자유를 봉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안 소장은 “그동안 <조선일보> 방씨 일가와 관련된 수사,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의 자녀와 관련된 수사에 대해선 지지부진했으면서 윤 총장의 명예훼손 건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음에도 바로 수사에 착수했다”며 “검찰 권력의 사유화·정치화의 중심에 윤 총장이 있는 것이 아닌지 국민들은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총장이 언론의 ‘취재원 보호 원칙’을 침해했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길윤형 언론노조 한겨레지부장은 “윤 총장은 보도에 관여한 성명 불상의 사람들까지 고소인으로 삼았다”며 “이는 취재원을 공개하라는 것이다. 윤 총장은 지금 하는 일이 보도·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 아닌지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