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중 위안부가 매춘의 일종이라고 발언해 파문을 일으킨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가 24일 오후 강의를 하기위해 서울 서대문구 자신의 교수 연구실을 나서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강의 중 위안부가 매춘의 일종이라고 발언해 파문을 일으킨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가 24일 오후 논란 중 다시 강단에 섰다.
류 교수는 지난 19일 자신의 ‘발전사회학’ 강의 중 “(위안부는 매춘부와) 비슷한 거다. 그 사람들(매춘부들)이 왜 매춘하냐. 살기 어려워서다. 옛날(일제강점기)에도 그랬다”고 주장해 파문을 일으켰다.
연세대는 논란이 된 발언을 한 ‘발전사회학’ 강의에서 류 교수를 배제했지만, 그가 이번 학기에 맡은 또다른 강의인 ‘대한민국의 건국과 발전’ 수업은 계속된다. 징계 여부는 진상 규명 뒤 결정될 예정이다.
류 교수는 24일 오후 수업을 위해 자신의 연구실을 나서며 이번 논란에 관한 입장과 학생에게 사과할 것인지를 묻는 취재진에 질문에 “드릴 말씀이 없다”고만 답한 뒤 강의실로 향했다.
그러나 연세대 총학생회는 24일 성명서를 내 “류석춘 교수는 학생과 ‘위안부’ 피해자에게 사과하고, 대학 본부는 류석춘 교수를 파면하라”고 촉구했다. 송영길, 우상호 의원 등 연세대 출신 더불어민주당 의원 14명도 23일 김용학 연세대 총장에게 “류 교수의 망언 사건으로 동문들의 자긍심은 땅에 떨어지고 말았다”며 “류 교수를 즉각 모든 수업에서 배제하고 학교가 정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신속하게 교수직을 박탈해 달라”고 요구했다. 현장의 사진을 모아본다.
2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안 류석춘 교수의 연구실 문에 류 교수를 비판하는 메시지를 담은 점착식 메모지들이 붙어 있다. 강창광 기자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가 24일 오후 ‘대한민국의 건국과 발전’ 강의를 위해 강의실에 들어서며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강창광 기자
한 학생이 2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안 류석춘 교수의 연구실을 찾아 류 교수를 비판하는 메모를 써 붙이고 있다. 강창광 기자
24일 오후 강의실로 향하는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앞으로 윤동주 문학동산 표지석이 보이고 있다. 일제강점기 조국의 현실을 가슴 아프게 여긴 윤동주 시인은 이 학교의 졸업생이기도 하다. 강창광 기자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