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권센터 관계자가 7군단 장병들이 인식표를 단 모습을 재연하고 있다. 센터는 육군 7군단장인 윤의철 중장이 체력단련을 중요시해 환자들도 행군에 참여시키는 경우가 많았고, 열외장병들에게 소속과 계급, 병명 등의 정보가 적힌 인식표를 달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육군 7군단이 장병들에게 무리한 체력단련을 강요하고, 질병으로 훈련에서 열외된 장병들에게 병명이 적힌 ‘인식표’를 부착하게 하는 방식으로 인권 침해를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군인권센터는 8일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 교육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7군단 인권 침해 집중 상담을 해 지난달 4일부터 모두 95건의 상담과 제보를 접수했다”며 “7군단장인 윤의철 중장의 지휘 아래 이뤄지는 과도한 체력단련으로 장병 건강권이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센터는 “윤 중장은 ‘전 병력 특급전사화’를 달성하기 위해 체력단련에 편집증적 집착을 보이고 있다”며 “이로 인해 장병들의 건강이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센터의 설명을 보면, 윤 중장은 7군단 전체 장병들에게 5~10㎞ 구보(뜀걸음), 산악 구보, 무장 구보 등의 체력단련과 교육훈련을 강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윤 중장은 각 부대별로 정해놓은 환자 티오(TO)에 맞춰 환자 수를 줄일 것을 요구하거나, 허리디스크를 앓거나 팔 부상 등을 당한 장병이 있더라도 눈으로 보이는 정도가 아니면 질병으로 보지 않고 훈련을 받도록 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질병으로 인정돼 열외 대상이 된 장병들은 자신의 병명 등이 적힌 인식표를 목에 걸어야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센터는 “윤 중장이 체력단련 때 열외 인원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를 해서 7군단이 환자인 장병들에게 부착할 인식표를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인식표에는 장병의 소속과 계급, 이름, 병명, 치료 기간, 군의관과 확인관 등이 표기됐다. 센터는 이와 관련해 “가축을 등급별로 하자 표시하듯이 환자에게 낙인을 줘 수치심을 주겠다는 의도”라며 “아픈 것은 죄가 아닌데 목에다가 자신의 이름과 병명을 걸고 모두 쳐다보는 가운데 연병장을 걷게 하는 것이 과연 정상적인 지휘 행태냐”라고 반문했다. 센터는 그러면서 “질병 정보는 개인정보보호법상 민감 정보에 해당해 요즘은 병원에서도 환자명과 질병 이름을 공개적으로 열거하지 않는다”며 윤 중장을 즉시 보직에서 해임하고 책임을 물을 것을 촉구했다.
센터의 이런 주장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아픈 장병을 훈련에서 열외 시키지 않았다거나 인식표를 패용하도록 했다는 주장에 대해 육군 부대 차원에서 하나하나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