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생회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건국대에서 전임 총학생회 간부가 학생회비 1500만원을 횡령한 정황이 포착돼 학교가 조사에 나섰다. 총학 예결산 내역 공개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건국대학교 제 51대 총학생회 ‘청심’은 “지난 총학생회 ‘리액션’의 사무국장이 총학생회비를 횡령한 정황과 증거를 포착·입수했다”며 “횡령 혐의에 대한 정확한 진상 규명과 향후 조치를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총학의 설명을 종합하면, 전임 총학 사무국장은 2018년도 총학생회비 중 일부 대금을 횡령해 사적으로 사용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사무국장이 횡령한 돈은 2018년도 2학기 총학생회비 중 교지편집위원회 배당 금액, 2018년도 2학기 등록금 납부기간 후 추가로 납부된 총학생회비, 학사 구조조정으로 인해 학적이 변경된 학생의 총학생회비 등 1500만원 남짓이다.
의혹이 제기되자 총학과 학교는 진상규명 티에프(TF)팀을 꾸리고 사태 파악에 나섰다. 진상규명팀은 5일 전임 사무국장을 불러 횡령과 사적 운영 혐의에 대해 조사했으며, 횡령이 의심되는 기간 동안의 통장 거래내역 등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조현규 건대 총학생회장은 “진상조사팀이 횡령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진행 경과를 학우들에게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임 총학 간부의 횡령 의혹에 건대 재학생들은 공분하고 있다. 사건 경과를 보고하는 총학 페이스북에는 “내가 낸 등록금이 남의 주머니에 들어갈 줄은 몰랐다” “이러려고 우리더러 학생회비를 내라고 했느냐” “이래서 ‘총학생회를 하면 차를 뽑는다’는 말이 나오는 것 같다” 등의 반응이 잇따랐다.
건대 외에도 대학 및 대학원 총학 간부들의 학생회부 횡령은 잊을만 하면 반복된다. 지난 2월에는 한양대학교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가 학생회비 수백만원을 횡령한 혐의로 전 비대위원장을 경찰에 고발했다. 지난 2017년 6월에는 한양대 대학원의 총학생회장이 원우회비 1000여만원을 식사비 등으로 횡령해 검찰에 송치됐으며, 같은해 8월에는 한국외대 총학생회 비대위 간부가 비대위 공금 200여만원을 생활비 등으로 사용하다 검찰에 적발된 바 있다.
총학 비리를 막으려면 투명한 회계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준우 대학연구네트워크 대표는 “학생 자치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줄고 학생회 개개인의 책임성이 약화한 것도 이유지만, 총학 비리의 가장 큰 이유는 내부적 자정 장치들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며 “총학이 어떤 지출을 했는지에 대해 학생들이 직접 예결산 회의에 참여하는 등 사용처가 투명하게 공개되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 대표는 “학생회 비리 반복은 학생회비 납부율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고, 학생들이 총학에 관심을 끊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민제 이주빈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