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6일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18 ‘포용국가 전략회의’에서 사회정책 추진 성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국민 절반 가량은 노후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를 하는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국민연금을 주된 대비책으로 꼽았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18년도 사회보장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7월부터 한달여간 20살 이상 국민 1000명, 관계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이번 조사에 응한 국민 49.1%는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실업(78.7%) 상태이거나 임시일용직(64.4%) 종사자들이 노후준비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은퇴를 앞둔 50대의 경우, 노후를 준비하지 않는다고 답한 10명 중 3명 가량(35.6%)은 ‘준비할 능력이 없다’고 했다. 노후준비를 하는 국민이 주로 선택하는 방법은 국민연금(60.7%), 예금·적금·저축성 보험(20%), 부동산(8.3%) 등이었다.
국민들은 사회보장 정책을 확대할 경우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으로 노인(33.5%)을 꼽았다. 선호하는 노후지원 정책은 연령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20~50대는 ‘은퇴후 취·창업 지원’을 가장 선호한 반면, 60대 이상은 소득지원(29.1%), 치매·독거·학대 노인 등에 대한 돌봄강화(20.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국민들은 현재 최대 걱정거리로 일자리(35.9%)를 꼽았지만 5년 뒤엔 노후생활(22.3%), 건강(21%), 일자리(20.1%)를 걱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회보장 정책 확대에 찬성하는 이들은 79.7%였으나, 정책 시행을 위해 세금·보험료를 더 내는 데 대해선 68%가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