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4일 심뇌혈관질환 예방·치료·관리를 확대하는 방향의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년)’을 확정했다. <한겨레> 자료사진
2016년 기준 급성심근경색 발병 뒤 ‘골든타임 2시간’ 이내 응급실 도착 비율은 36.6%, 뇌졸중 발병 뒤 ‘골든타임 3시간’ 이내 응급실 도착 비율은 42.9%이다. 지역에 따라 응급대응 격차가 큰데, 전북 진안군의 경우 심근경색 발병 뒤 응급실에 도착하는 데 410분이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4일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심뇌혈관질환 예방·치료·관리를 확대하는 방향의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18~2022년)’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심뇌혈관질환이란 심장·뇌로 향하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심장이나 뇌 기능이 손상되는 병으로, 심근경색·뇌졸중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질환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의 24.3%를 차지하며, 고령화 추세에 따라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복지부는 현재 14곳에 지정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중심으로 심뇌혈관질환을 치료하고 있으나, 이러한 치료 체계를 중앙-권역-지역(일차) 심뇌혈관질환센터로 개편할 예정이다. 중앙센터에선 기술 지원 등 질환관리 구심점 역할을 하고, 권역센터에선 예방·치료·재활, 지역센터는 지역 사회내 응급상황 대처·재활을 맡는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진료 가능한 환자는 전체 질환자의 20% 가량이며, 지역간 접근성 격차도 크다. 지역내 병원 상황을 파악해 환자들에게 어디로 가서 치료·재활을 받으면 되는지 알려주는 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어떤 곳을 중앙·지역센터로 지정할지, 운영을 어떻게 할지 등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 복지부는 관련 연구가 끝나는 대로 세부적인 계획을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고위험군 선별기준 및 임상진료지침 등을 개발해 보건소와 동네의원에 보급할 예정이다.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질환별 증상 및 대처방법 등을 알려주는 교육도 확대한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