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마포구의 한 편의점에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와 전용 연초가 진열되어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국내에서 판매되는 궐련형 전자담배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인 타르가 일반 담배에 견줘 더 많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는 포름알데히드·벤젠 등 다섯 가지 성분도 검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7일 궐련형 전자담배인 필립모리스의 ‘아이코스’, 브리티쉬아메리칸토바코(BAT)의 ‘글로’, 케이티앤지(KT&G)의 ‘릴’ 등 3개 회사가 각각 출시한 3개 제품에 대한 니코틴·타르 등 11개 유해성분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담배 및 환경 분석 전문가로 구성된 시험분석평가위원회가 하루 세 차례 3일간 반복 분석한 결과(국제표준화기구 방법 기준)를 보면, 아이코스와 릴에서 배출된 타르 평균 함유량은 개비당 9.3㎎, 9.1㎎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담배의 타르 함유량(0.1~8.0㎎)보다 많은 수준이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다양한 유해물질이 혼합된 타르가 더 많이 검출된 것을 고려할 때, 유해성분이 더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식약처는 “일반 담배의 태우는 방식과 다르게, 가열 방식에서 생성되는 궐련형 전자담배의 타르 구성성분이 다를 수 있어, 검출량만으로 유해성을 단순 비교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3개 제품 니코틴 평균 함유량은 일반 담배 함유량(0.01~0.7㎎)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1급 발암물질을 비롯해 세계보건기구가 줄일 것을 권고하는 9개 유해성분 검출 여부를 살펴본 결과, 1·3-부타디엔을 제외한 8개 성분이 모두 검출됐다. 1급 발암물질 성분 평균 함유량 범위는 벤조피렌의 경우 불검출~0.2ng, 니트로소노르니코틴 0.6~6.5ng, 니트로소메틸아미노피리딜부타논 0.8~4.5ng, 포름알데히드 1.5~2.6μg, 벤젠 0.03~0.1μg 이었다. 타르·니코틴 이외 유해성분은 일반 담배에 견줘 적게 검출됐다. 식약처는 “세계보건기구(WHO) 등 외국 연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궐련형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덜 유해하다는 말은 근거가 없다”며 “벤조피렌, 벤젠 등 발암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돼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궐련형 전자담배는 충전된 건전지를 이용해 담뱃잎을 태우지 않을 정도의 열을 발생시킨 뒤, 담뱃잎을 가열해 연기가 아닌 기체 형태로 담뱃잎의 니코틴을 들이마실 수 있도록 고안한 제품이다.
식약처 발표에 대해 대표적인 담배 판매업체인 한국필립모리스는 “궐련형 전자담배에 발암물질이 존재한다는 점은 새로운 사실이 아니며 발암물질이 큰폭으로 감소했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식약처 분석 결과는 유해물질이 적게 나온다는 우리의 연구 결과를 다시 한번 입증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