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공영방송 장악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이 방문진 사무실 등에 압수수색을 들어간 30일 오전 고영주 방문진 이사장이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문화방송>(MBC) 임원진과 짜고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공작을 벌였다는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김재철 전 문화방송 사장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은 30일 김 전 사장을 비롯해 전영배 전 기조실장(현 엠비시시앤아이(C&I) 사장), 백종문 부사장, 국정원의 문화방송 담당 직원의 주거지 및 사무실,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해 각종 문서와 전산 자료,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김 전 사장 등 당시 문화방송 경영진이 국정원과 긴밀히 협조해 <피디수첩> 등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진 교체, 방영 보류, 제작 중단 등 불법 행위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김 전 사장은 자신의 휴대전화 디지털 포렌식(증거 분석) 작업에 참여하기 위해 이날 오후 검찰에 출석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국정원 관계자가 문건을 줬다는 보도가 나오는데 관계자를 만난 적도 없고 문건을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다. 국정원 담당관을 만나서 그 문서를 받았다면 지금이라도 감옥에 가겠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수사팀은 31일 백 부사장, 이우용 전 라디오본부장, 추명호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 등을 각각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이 된 방문진 고영주 이사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수사에 필요해서 압수수색을 하는 것이라 판단하고 순순히 응했다”고 말했다.
3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방송문화진흥회에서 검찰 관계자들이 압수수색 물품을 가지고 나오고 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공영방송 장악 시도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은 이날 방문진 사무실을 비롯해 김재철 <문화방송> 사장 등 경영진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한편, 이날 전국언론노조 한국방송(KBS)본부(노조)는 “고대영 사장이 ‘보도 무마’ 청탁과 함께 200만원을 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국정원 문건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해당 문건을 통해 확인한 결과, ‘안보 관련 한국방송 기자 취재 분위기 파악, 남북관계·국익 저해 보도 자제, 국정운영 지원 보도’를 목적으로 국정원 예산에서 고 사장에게 200만원이 지출됐다”고 말했다. 또 노조는 고 사장이 보도국장이었던 2009년 국정원의 사찰 정보를 활용해 당시 야당이던 민주당 의원들이 타이로 외유성 해외 골프를 떠난 사실을 보도하라고 지시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김양진 김효실 박준용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