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이 청와대 사정비서관 박영수 특검 후보에
박통 피의자로 입건한 이영렬 검사장은 고 노무현 대통령 사정비서관 출신
또다른 후보 조승식 검사장도 강력통
박통 피의자로 입건한 이영렬 검사장은 고 노무현 대통령 사정비서관 출신
또다른 후보 조승식 검사장도 강력통
29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별검사 후보로 각각 내놓은 조승식(64·사법연수원 9기), 박영수(64·사법연수원 10기) 변호사는 모두 검찰 재직 시절 대표적 강력통 검사들로 꼽힌다.
조 변호사는 ‘조폭수사의 대부’로 통한다. 그는 대검 강력부장(2003~2005년),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2005년), 대검 형사부장(2007~2008년) 이력이 보여주듯 조직폭력 사건 등 강력수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특별수사의 전범으로 꼽히는 ‘심재륜 사단’의 일원으로, 1990년 서울지검 강력부 시절 범서방파의 김태촌씨를 구속했다. 사형을 구형받은 김씨가 대법원에서 징역 10년형이 확정되자 “조직폭력배 재판이 시국사건 재판보다 어렵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노태우 정부의 ‘범죄와의 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 <범죄와의 전쟁>에 등장하는 검사의 실제 모델이기도 하다. 검찰 인사 때 조폭들이 ‘축 개업’이라는 축전을 보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조 변호사는 2008년 사법시험 동기인 임채진 전 검찰총장이 총장직에 오르며 옷을 벗었다. 검찰 내부에서는 “강단이 있고 무색무취한 성향이지만 조직범죄 수사 외에 대기업 등 큰 수사 경험은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변호사 역시 강력 수사에서 잔뼈가 굵었지만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 이력이 도드라진다. 그는 서울지검 강력부장(1998~1999년), 대검 공안기획관(2000~2001년), 대검 중앙수사부장(2005~2007년) 등을 역임했다. 서울지검 2차장(2002~2003년) 시절 에스케이(SK)그룹 분식회계 사건을, 중수부장으로 있을 때 현대차 비자금 사건을 파헤쳤다. 이 때 중수부 수사기획관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 중수1과장이 최재경 현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들어 김경한 법무부 장관으로부터 용퇴 압박을 받은 뒤 2009년 1월 서울고검장을 끝으로 옷을 벗었다.
박 변호사는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실 사정비서관(2001~2002년)을 지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친분이 깊다. 박근혜 대통령이 선뜻 낙점하기 어려운 이력이지만, 검찰 내부에서는 박 대통령 주변 검찰 출신 인사들과 박 변호사의 관계를 눈여겨 본다. 대표적 ‘우병우 인맥’인 최윤수 국가정보원 2차장은 검찰 내부에서 “박영수의 양아들”로 분류된다. 또다른 우병우 라인으로 분류되는 윤갑근 대구고검장은 강력부장 시절 주임검사였다. 사표 보류 상태인 최재경 민정수석이 박 대통령에게 어떤 식으로든 ‘조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우려에 대해 박 변호사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만약 임명된다면 법에 따른 수사를 할 것”이라고 했다. 박 대통령이 박 변호사를 특검으로 임명할 경우 노무현 정부 사정비서관(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에 이어 김대중 정부 사정비서관 출신에게 연달아 수사를 받는 처지가 된다.
검찰 내부에서는 야당이 진보성향 대법관 출신이 아닌 검찰 사정을 잘 아는 고위직 출신들을 특검 후보로 제시하자 안도하는 분위기다. 한 차장급 검사는 “각각 강력과 특수 분야에서 능력을 인정받은 이들이다. 이번 특검 목표인 실체적 진실을 밝히는 데 적절한 후보들”이라고 했다. 또 다른 검사는 “두 분 다 검찰 안에서 신망이 있다. 강단도 갖추고 있고 합리적이어서 나쁘지 않다”고 했다. 반면 한 전직 검사장은 “100점 만점에 70점 정도다. 수사 능력이나 소신 등에서 애초 후보로 거론됐던 이들보다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야권은 그간 법조인 출신의 의원들과 외부 법조계로부터 수십명의 리스트를 추려 적합하지 않은 인물들을 제외하는 검증 작업을 벌여왔다. 그러나 대법관 출신 등 중량감 있는 법조인 다수가 고사 의사를 밝혔고, 일부 ‘수락’ 의사를 밝힌 법조인 가운데서도 박근혜·최순실 연루 대기업의 고문 이력이나, 소속 로펌의 해당 재벌 총수 변호 이력 등이 걸려 제척된 이들이 적잖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강문대 민변 사무총장은 “두 사람 모두 검찰 출신이라는 한계가 있다. 검찰이 수사 대상이 될 수도 있는데 그 역할을 제대로 할지 우려된다”고 했다.김남일 최현준 송경화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