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규 ‘거사’ 없었다면 유신 연장됐을 것” 서중석 교수
‘10·26 재평가’ 강연회서 주장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사건인 ‘10·26’이 없었더라면 유신체제가 상당기간 존속됐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성균관대 서중석(역사학) 교수는 26일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 박 전 대통령을 살해한 ‘10·26사태’ 26년을 맞아 ‘10·26 재평가와 김재규(사진) 장군 명예회복추진위원회’가 주최한 기념강연회에서 “김재규의 ‘거사’가 없었다면 유신체제는 일정기간 연장될 수 있었고, 엄청난 희생을 수반한 피해가 뒤따랐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박 전 대통령은 이승만 전 대통령과 달리 군을 확고히 장악했을 뿐만 아니라 경호실, 보안사, 하나회가 있었다”며 “박정희는 결코 이승만처럼 피의 화요일(4·19)에 놀랄 사람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학생들의 반유신운동이 1977년 가을경부터 조금씩 되살아나고 있었으나, 여전히 학교 안에서 규모가 큰 시위투쟁을 수시간 이상 걸쳐 전개할 능력이 없었고, 10·26 이후에도 민주화운동은 강력히 전개되지 못했다”며 유신독재정권이 민주화운동에 의해 붕괴될 가능성이 있었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대규모 민주화운동이 벌어졌더라면 신군부의 광주진압보다 더 참혹한 사태가 벌어졌을 수도 있다는 가정을 여러모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신체제 붕괴는 ‘서울의 봄’을 가져왔고, 광범위한 민주화운동을 활성화 방향으로 진전시켰다”고 10·26의 의의를 평가했다.
이에 대해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 유양수 회장은 “박 대통령은 민주주의 발전의 기본 조건인 경제발전을 위해 불가피하게 독재를 폈을 뿐”이라며 “임기가 끝난 뒤 다음 정권에 민주적으로 권력을 이양할 구상을 이미 세워놓았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재규 명예회복추진위는 2001년 김 전 부장에 대한 민주화운동 관련자 인정 신청을 냈으나,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위원장 하경철)는 지난해 8월 김 전 부장이 민주화운동에 기여했느냐에 대한 내부의 의견이 엇갈려 ‘보류 및 계속 조사’ 결정을 내린 상태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