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거 위주 재개발 방식서 탈피
4대문안 도심 건축 90로 제한
4대문안 도심 건축 90로 제한
서울시가 한양도성 내 재개발 예정지의 30%에 이르는 110만㎡를 해제한다. 전면철거식 개발을 통제하고 골목길 등 다양한 역사·문화적 가치가 보존되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동시에 영등포, 서대문 등지 내 낙후 지역의 도시정비는 확대·강화하기로 했다.
시는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이 4일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했다고 9일 밝혔다.
기본계획을 보면, 한양도성 내 자리한 도심부 전체 정비예정구역(362만㎡) 가운데 역사·문화 자산이 풍부한 110만㎡를 해제한다. 익선동·낙원동, 인의동·효제동, 종로5가, 주교동·오장동·충무로5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등이 주요 대상이다.
이들 지역은 개별 특성을 고려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관리하기로 했다. 전면철거 뒤의 대규모 개발 방식이 아닌, 개별 필지별로 건물을 리모델링하거나 신축할 수 있게 된다. 골목길 등 기존 지역의 모습은 남는다.
4대문 안 도심에서 건물을 신축할 때는 내사산 높이인 90m(보통 25~30층)로 고도제한해 경관을 가리지 않도록 한다. 도심 공동화를 막기 위해 주거가 주 용도인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지역을 도심 전체로 확대해 셰어하우스, 레지던스, 소호 등 다양한 유형의 도심형 주거 공급을 유도한다.
반면 영등포 대선제분 공장 일대와 용산 남영동 업무지구와 삼각맨션 부지, 서대문 충현동 일대는 정비예정구역으로 새로 지정한다. 영등포와 여의도는 정비사업 예정구역을 확대해 국제금융 중심 기능을 강화하고 가산·대림과 성수 지역은 준공업 지역 종합발전계획과 연계해 지식산업 집적지로의 육성을 가속화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그동안 4대문 안을 개발할 것인가 보전할 것인가를 두고 논란이 많았는데 이번에 보전으로 시 정책의 가닥을 잡았다”며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을 전면철거 위주에서 보전과 개발 투트랙 체제로 전환한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재공람한 뒤 7월에 고시할 예정이다. 정비구역 해제·지정 등은 고시 이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