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5일 편집·보도국장 오찬간담회에서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 활동 기한을 세월호 인양이 이뤄지는 7월 이후까지 보장하는 것에 대해 “국회가 잘 협의해서 판단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특조위에) 그동안 재정이 150억원 정도 들어갔고, 또 그것을 정리하는 작업에 추가로 재정이 들어갈 것이다. 인건비도 거기에서 한 50억 정도 썼다고 알고 있다”며 “(기한을) 연장하느냐 하는 것은 국민 세금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이기 때문에 국회에서 이런저런 것을 종합적으로 잘 협의해서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특조위 활동의 시작 시점을 두고 논란이 계속돼 왔지만, 정부는 활동기한에 대한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예산을 오는 6월말까지만 배정한 상태다. 그동안 특조위 활동에 반대해왔던 보수단체들은 ‘특조위가 세금을 낭비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박 대통령, 보도·편집국장 간담회 관련기사
▶“총선 결과는 국회심판” 대통령만 모르는 민심
▶“한국판 양적완화 추진” 첫 언급
▶“파견법 일석사조…구조조정 실업자에 빠른 일자리”
▶박 대통령과 130분 오찬…‘총선 민심’ 모르고 있었다
▶“3당대표와 회동 정례화 검토”…여야정 협의체엔 소극적
▶“내가 친박 만든 적 없다” 유승민 조기복당은 반대
▶한은 돈 찍어 구조조정 위한 ‘양적 완화’…현실화 미지수
▶“북 핵실험 강행땐 제재·압박 외 다른 길 없어”
▶김영란법에 “이대로 되면 경제위축 우려”
▶박 대통령, 국정 19가지 이슈에 대한 인식
▶“총선 결과는 국회심판” 대통령만 모르는 민심
▶“한국판 양적완화 추진” 첫 언급
▶“파견법 일석사조…구조조정 실업자에 빠른 일자리”
▶박 대통령과 130분 오찬…‘총선 민심’ 모르고 있었다
▶“3당대표와 회동 정례화 검토”…여야정 협의체엔 소극적
▶“내가 친박 만든 적 없다” 유승민 조기복당은 반대
▶한은 돈 찍어 구조조정 위한 ‘양적 완화’…현실화 미지수
▶“북 핵실험 강행땐 제재·압박 외 다른 길 없어”
▶김영란법에 “이대로 되면 경제위축 우려”
▶박 대통령, 국정 19가지 이슈에 대한 인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