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 반대 청소년행동’은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케이티(KT)사옥 앞에서 ‘제10차 청소년 거리행동’을 열고 한국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철회를 위한 청원서를 유엔 문화적 권리 분야 특별 조사관에게 이날 전자우편을 통해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청원서에는 청소년 1370명이 이름을 올렸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
국정교과서 반대 청소년행동, ‘제10차 청소년 거리행동’ 열어
“청원서 제출 만으로도 전 세계에 문제점 알려나갈 수 있을 것”
“청원서 제출 만으로도 전 세계에 문제점 알려나갈 수 있을 것”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청소년들이 국제연합(UN)에 국정화 철회를 위한 청원서를 제출했다.
‘국정교과서 반대 청소년행동’은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케이티(KT)사옥 앞에서 ‘제10차 청소년 거리행동’을 열고 한국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철회를 위한 청원서를 유엔 문화적 권리 분야 특별 조사관에게 이날 전자우편을 통해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청원서에는 청소년 1370명이 이름을 올렸다.
에이포(A4)용지 6쪽짜리 분량의 청원서에는 정부의 국정화 추진 과정의 문제점, 국정화로 인해 국민들이 받게 될 피해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들은 청원서에서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행정예고부터 확정고시까지 청소년, 교사, 학자를 비롯한 국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반대 의견을 표출했고, 여론조사에서도 반대 여론이 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국정교과서를 강행했다”며 국정화 추진 과정이 전반적으로 비민주적이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교과서 집필진들의 명단을 공개하지 않아 교과서 서술의 방향조차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며, 집필 기간도 단 1년에 불과해 부실한 역사 교과서가 출판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했다.
거리행동에 참여한 오지승(15)양은 “유엔에 청원서를 제출하는 것만으로도 전 세계에 이 문제점을 알려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청소년들이 직접 목소리를 내고 있고, 어떤 일이 있어도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막아야한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청원인단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서명에서 “부끄러운 역사라도 제대로 배워야 똑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다”, “잘못된 길로 우리 대한민국의 역사를 흐르게 하지 말아주세요” 등의 의견을 적어 함께 제출했다.
유엔 청원을 함께 준비한 최서현(25) 활동가는 “최근 베트남 교과서가 국정제에서 검정제로 바뀌는 과정에 유엔의 권고가 결정적인 역할을 미쳤다고 들었다”며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강행되는 한국의 현실을 알리고자 청원을 준비했다”고 했다. 유엔은 2013년 10월 총회에서 “국가가 역사교과서를 하나로 줄이는 것은 퇴보적(retrogressive) 조처로, 국가가 후원하는 교과서는 매우 정치화할 위험이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채택한 바 있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
이슈국정교과서 논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