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한국기업 인권침해도 감시해주길” 랜슬리 국장
“국외 한국기업 인권침해도 감시해주길”
지난 14일 오전 서울 중구 대우빌딩 앞에서 열린 ‘대우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의 버마(미얀마) 가스개발 인권·노동권존중 촉구 국제행동의 날’ 집회 현장에서 백인 여성 한명이 눈에 띄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미얀마 민주화 활동가 캐럴 랜슬리다.
“한국에서 봤을 때는 단순한 해외투자이지만, 미얀마에서는 현지인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인권침해로 이어집니다. 미얀마 슈웨 지역의 가스 개발에는 한국 정부 기관도 참여한 만큼 단순한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민 전체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문제임을 알리기 위해 한국에 왔습니다.”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지구의 권리’ 아시아국장인 랜슬리가 미얀마 활동가들과 함께 한국을 찾은 것은 대우인터내셔널이 참여하고 있는 미얀마 천연가스 개발사업이 자칫 미얀마 군사정권의 독재를 도와주는 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다. 그는 외국의 투자가 인권침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미얀마의 ‘특수한’ 상황을 자세히 설명했다. “버마 안에서는 외국 기업이 활동하려면 군부와 합영관계(조인트 벤처)를 맺어야 합니다. 시설물과 사람들의 안전을 군부가 제공한다는 이유로 군대가 외국 기업을 따라 들어가는데, 이 군인들이 현지에서 강제노동과 성폭행 등 인권문제를 일삼아 일으켜왔습니다.”
실제 미국 정유사 유노칼이 미얀마 개발에 참여했다가 인권침해의 간접 책임이 있다고 고발까지 당했고, 수천만 달러의 배상금을 낸 사례가 있다는 점을 그는 강조했다.
10여년 전 타이 방콕에서 3개월 동안 자원봉사를 진행한 인연으로 미얀마 민주화 운동과 인연을 맺은 그는 미얀마인 남편과 8년 전 결혼해 타이 치앙마이에 살고 있다.
“우리들이 시위한다고 수억 달러를 투자한 기업이 물러서진 않겠죠. 하지만 기업의 이익이 인권보다 우선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면,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방지책은 내놔야 합니다. 우리는 규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답을 듣기 위해 한국에 왔습니다.”
글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사진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