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서울시가 여의도 한강공원 일대에 700t급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새 선착장을 중심으로 카페, 레스토랑 등 상업시설이 집적된 ‘여의마루’ 개발안을 내놓았다. 2007년 오세훈 전 서울시장 때의 한강르네상스 사업 이후 2011년 10월 취임한 박원순 시장이 내놓은 첫 한강 상업화 계획이다.
기획재정부와 서울시 등은 24일 여의도 지구를 관광·수상교통의 거점으로 조성하는 ‘한강 자연성 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핵심은 지하철 여의나루역(5호선)에서 직선 200m 지점 한강 수변에 통합 선착장을 만드는 것이다. 최대 700t급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규모로, 여의나루역에서 보행데크로 연결된다. 선착장 일대에는 카페와 레스토랑, 상점, 공연장, 광장 등이 조성되고, 윤중로를 따라 전시장·스튜디오 등 복합문화시설, 조망·휴식 기능의 ‘테라스 가든’ 등도 들어선다.
새로운 수상교통 수단도 등장한다. 시속 60㎞ 이상의 지하철 속도로 오가는 ‘리버 버스(고속 페리)’와 여의도~홍대 주변을 순환하는 ‘수륙양용 버스’다.
리버 버스는 2000~4000원 운임으로 여의도~잠실을 시범 운행하는 방안이 구상중이다. 오 전 시장 때 도입된 수상택시는 이용률이 저조해 사실상 실패로 평가되나, 고속 페리는 대중적이고 이용시간대도 넓어 전망이 있다는 게 정부 쪽 설명이다. 수륙양용 버스는 인천시에서도 운행중인데, 여의도~합정~홍대 일대를 ‘관광용’으로 순환운행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여의마루 개발에 2019년까지 2520억원(민자 1150억원) 이상, 리버 버스와 수륙양용 버스에 2017년까지 391억원(민자 304억원)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방안은 지난해 8월 정부가 ‘한강 관광자원화 추진 방침’을 세우고 서울시와 티에프(TF)를 구성한 지 1년 만에 성안됐다. 정부는 상업화 시설에, 서울시는 생태보존에 더 치중하면서 조율에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 쪽의 1000t급 여객선 사업, 서울시의 신곡수중보 철거(전면 개방) 의제는 수용되지 않았다. 정부는 관광사업 권역을 여의도에서 이촌, 반포 등지로 넓히자고 요구했으나, 여의마루 개발 선에서 합의가 됐다. 박 시장은 지난달 “정부 지원이 크지 않은데 지나치게 상업적 개발을 요구해 아예 무산될 수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간 한강을 활용한 관광사업화 대부분은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여의도 마리나, 반포 세빛섬, 수상택시, 전망카페 등이 대표적이다. 올림픽대로와 강변북로에 막혀 접근성이 낮은 가운데 생태보존과 치수 관리의 압박을 받기 때문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여의지구는 유일하게 올림픽대로가 지나지 않고, 한강공원 중 이용객도 가장 많다. 발표 내용의 경제성을 더 검증해가며 구체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