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투자 받아 SH공사가 건설
“2018년까지 2만호 지어 분양”
시세 80% 이하로 ‘2030세대’ 공급
내년 은평뉴타운에 1천가구 착공
“2018년까지 2만호 지어 분양”
시세 80% 이하로 ‘2030세대’ 공급
내년 은평뉴타운에 1천가구 착공
공공기관이 민간투자를 받아 건설한 뒤 청년층에게 저렴한 가격에 최대 7년 월세로 공급하는 방식의 민관협력형 임대주택이 서울에 2만호 지어진다.
서울시는 30일 “민간투자를 받아 임대주택을 건설·분양한 뒤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투자회사를 설립해 2018년까지 임대주택 2만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주거비 부담으로 가장 고통받는 ‘2030’ 세대에게 집중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리츠’로 불리는 방식으로, 에스에이치(SH)공사가 부동산투자회사 ‘서울리츠’를 설립해 운영한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80% 이하, 임대료 상승률은 연 5% 이하로, 최대 7년 동안 거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투자자에게는 5%가량의 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해 시유지 등 저렴한 공공토지를 제공하고, 부대시설을 통한 임대료 수익사업 등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서울리츠’는 정부 공기업인 엘에이치(LH)공사가 시행중인 ‘리츠임대주택’과 차이가 있다. 리츠임대주택은 다자녀·노부부 등의 무주택자에게 우선 기회가 주어지고, 10년 뒤엔 일반분양을 한다. 서울리츠는 전체 물량의 80% 이상을 소득분위 7분위 아래의 20~30대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에게 공급하고, 50년 동안 임대주택으로 이용한다. 서울시는 월세 전환으로 커진 주거 부담이 특히 20~30대에 가중되고, 이 때문에 지난해 다른 도시로 전출한 인구 가운데 2030 세대가 46%를 넘어서는 등 ‘청년 누수’가 심화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서울리츠는 오는 10월 설립돼, 1호 사업지로 선정된 은평뉴타운 부지 내 1000호 규모의 임대주택 건설사업을 내년 2월 착공할 방침이다. 강남구 민간기업 터, 양천구의 에스에이치공사 장기 미매각 터, 영등포구 시유지도 2~4호 사업지로 추진중이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을 떠나는 첫번째 이유가 주택 문제다. 기존 주택공급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20~30대가 최대한 입주해 시에 정착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