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곡수중보. 서울시 제공
녹조 저감효과 지켜보기로
정부에 ‘전면개방’ 협의 요청
환경연합 “철거로 이어지길”
정부에 ‘전면개방’ 협의 요청
환경연합 “철거로 이어지길”
서울시가 경기 김포 쪽에 설치된 신곡수중보(사진) 수문의 전면 개방을 정부에 제안하기로 했다. 한강 녹조가 직접적 배경이지만, 환경단체들이 신곡보의 ‘개방 후 철거’를 요구한 터라 ‘개방 효과’에 따라 ‘철거론’도 탄력받을 전망이다.(▶ 관련 기사: [단독] 환경단체 40곳 “한강녹조의 주범, 신곡보를 없애라”)
서울시 실무 담당자는 23일 “신곡 수중보(1007m) 가운데 가동보(124m) 수문 5곳을 썰물 때 모두 개방하고, 녹조 저감 효과가 확인되면 전면 개방을 지속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와 협의하고자 한다. 오늘 오후 서울시 관계자·전문가들이 모여 ‘신곡수중보 전면개방 검토’를 주제로 한 비공개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결정된 사항”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인천 쪽 바다 밀물이 잦아지는, 이르면 다음주부터 전면 개방을 하되 녹조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만 지속한다는 복안이다.
이날 회의에선 썰물 때 신곡 수중보 가동보 5개를 개방하는 경우, 초당 600㎥의 물이 하류로 빠져나가면서 유속이 평소의 2배 정도로 빨라지고, 수위는 평균 2.6m에서 40~50㎝가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신곡보 상류 시설물 가운데 주운 수심, 서울화력발전소 등은 개방 영향을 받지 않지만, 경인운하와 같은 수상 시설 등은 일부 영향이 예상됐다.
서울시는 국토부에 이런 내용을 토대로 신곡보 전면 개방을 위한 협의를 요청하기로 했다. 정부가 서울시에 신곡보 관리를 위임하며 맺은 ‘한강수중보 관리규정’엔 한강 수위가 4.6m 이상(설계상 홍수 수위를 의미)일 경우에만 가동보를 전면 개방할 수 있도록 못박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 결정에 대해 이세걸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개방하게 되면) 녹조를 해소하고 개방 영향을 관찰하는 데 필요한 충분한 기간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이번 개방 기간에 충분히 연구해서 앞으로 신곡보 철거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2일 환경운동연합 등은 박원순 서울시장을 상대로 일단 신곡보 수문을 개방하고 이후 수중보를 철거하는 단계적 요구안과 함께 범시민운동에 나설 것을 밝힌 바 있다.
이상철 국토교통부 하천계획과장은 “신곡보의 전면 개방에는 여러 가지 검토와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 갈수기인데, 신곡보를 전면 개방하면 상류에 물이 부족해지지 않을지 우려된다. 신곡보 개방 문제를 서울시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규원 기자,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