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천원 이상 더 들어” 철회 촉구
도의회 의장·시민단체도 “반대” 목청
도의회 의장·시민단체도 “반대” 목청
경기도가 버스 요금을 최대 1200원 올리는 방안을 강행하려 하자 경기도의회와 시민단체는 물론, 경기지역 대학생들이 인상안 철회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경실련경기도협의회,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27일 오전 경기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광역버스 거리비례제 도입은 도민들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남경필 지사는 버스 운송원가의 철저한 검증시스템을 구축하고 준공영제 도입 등 버스 개혁의 청사진을 제시하라”고 주장했다.
특히 기자회견에는 ‘경기도 버스요금 인상을 반대하는 대학생 모임’(회장 허인도 한신대 총학생회장)이 참석해 “돈 있으면 학교 주변에 방을 얻어 자취를 하지, 먼 거리에서 시간과 돈을 쓰며 통학하겠냐”며 요금 인상을 즉각 중지하라고 요구했다. 대학생 모임에는 한신대와 성균관대, 경기대, 아주대, 수원대 등 5개 대학 학생들이 참여했다. 허인도 총학생회장은 “버스 요금이 오르면 서울 강남과 사당에서 학교까지 하루 1천원 이상의 추가 비용이 예상된다. 수입이 느는 것도 아닌데 교통비 같은 필수 지출만 늘면 대학생들의 사정은 더 어려워진다. 버스 요금 인상 시 추가 행동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의회 강득구 의장(새정치민주연합·안양2)도 이례적으로 이날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도민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무리한 광역버스 거리비례제 확대 도입 계획을 철회하라”고 경기도에 요구했다. 강 의장은 “거리비례제 확대 도입은 도의회와 당초 논의된 바 없고 경기도 특성상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경기도는 29일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버스 유형별로 요금을 100~500원 올리는 3가지 인상안을 심의해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또 기본거리 30㎞를 넘으면 5㎞마다 100원씩 추가 요금을 물리는 거리비례제를 일반버스에서 광역버스까지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거리비례제가 적용되면 요금은 최대 1200원까지 오르게 된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