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의무고용 위반 명단 공개
세종교육청·원자력안전위 등 ‘0명’
세종교육청·원자력안전위 등 ‘0명’
‘장애인 의무고용 제도’ 시행 13년째가 되지만 단 1명의 장애인도 채용하지 않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공공·민간기업이 726곳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7일 ‘장애인 고용 저조 기관·기업 명단’(2012년 말 기준)을 공개하며 “장애인 고용 실적이 현저히 저조한 기업 및 국가·지자체는 1706곳이고, 그 가운데 42.6%인 726곳은 장애인을 전혀 고용하지 않은 경우”라고 밝혔다. 지난해엔 전체 의무고용 대상 사업장 2096곳 가운데 967곳(46.1%)의 장애인 고용률이 0%였다.
올해 ‘장애인 제로’ 기관·기업 명단을 보면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원자력안전위원회·기초과학연구원 등 공공단체 3곳이 포함됐고, 직원 1000명 이상 민간사업장 중엔 인력 공급 업체인 유니토스 1곳, 500명 이상 사업장 중엔 드림어스, 지오다노, 이화여대 산학협력단 등 16곳이 들어갔다. 300명 이상 사업장 가운데는 메가박스·티브로드홀딩스 등 32곳, 100명 이상은 674곳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현대종합상사·지에스(GS)글로벌·가온전선·대림코퍼레이션 등 17곳은 30대 기업의 계열사다. 국내에서 인기가 좋은 패션·잡화 브랜드인 버버리코리아·프라다코리아·자라리테일코리아·스와로브스키코리아 등도 일제히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상시 근로자 100명 이상이면서 장애인 의무고용률(공공기관·기업 1.8%, 민간기업 1.3%)에 이르지 못하는 사업장 명단에는 30대 기업집단 중 한국지엠·두산·동국제강·에쓰오일·삼성을 제외한 25개 집단 108개 계열사가 이름을 올렸다. 현대자동차 계열이 11곳, 지에스와 동부 계열이 9곳으로 가장 많았다. 공공 분야는 국회와 서울·경기교육청 등 교육청 12곳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23곳이다. 중앙일보·매일경제·조선일보·연합뉴스·동아일보·한겨레신문사(고용률 낮은 순서) 등과 에스비에스(SBS) 본사 및 각 지상파 방송사의 계열사도 기준 미달의 고용률로 이름을 올렸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