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관련 산별노조 가입할듯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탈퇴 논란으로 갈등을 겪었던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의 조합원 자격을 유지하기로 했다. 학비노조는 민주노총의 16개 산별조직 가운데 한 곳에 가맹비를 내고, 대의원·중앙위원 권리를 행사하게 된다. 그간 학비노조의 가입을 주장해온 공공운수연맹이 아닌 학교 관련 산별조직이 새 가입 연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28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학비노조 민주노총 자격 안건’을 통과시키면서, 조직운용·정파 문제 등으로 촉발된 학비노조 탈퇴 논란을 봉합했다.
이날 29명 중앙집행위원 가운데 15명 찬성으로 가결된 내용은 △다음달 28일까지 16개 연맹 중 학비노조가 선택한 연맹의 동의 아래 해당 연맹 가입 △2014년말까지 (가입 산별조직이 흩어져 있는) 학교비정규직 노동자의 총단결 실현 등이다.
이는 과도기적 조처로, 민주노총은 내년 말까지 16개 조직으로 제한해왔던 산별조직 운영 방침 등을 다듬고, 이에 따라 향후 학비노조의 진로도 확정하기로 했다.
3만명가량의 조합원을 이끌고 있는 학비노조는 그간 새로운 독립 산별조직으로 인정해줄 것을 요구해왔고, 민주노총은 산별조직이 현재의 16개를 초과할 수 없다고 맞서왔다.
문영복 학비노조 교육실장은 “앞으로 한달 내 가입 연맹을 결정하기로 했다. 대학노조, 교수노조 등 학교 관련 노조가 우리와 맞다고 본다. 이로써 탈퇴 논란은 종식됐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 대통령, 2002년엔 ‘통일조국’ 외치고 한반도기 흔들라더니…
■ ‘줄기세포 신화’ 라정찬 회장 구속…처조카 성추행 의혹도
■ 국민 53% “노무현 발언, ‘NLL 포기’ 아니다”
■ 강용석 전 의원은 왜 ‘예능인’을 자처하나
■ [화보] 중국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
■ 박 대통령, 2002년엔 ‘통일조국’ 외치고 한반도기 흔들라더니…
■ ‘줄기세포 신화’ 라정찬 회장 구속…처조카 성추행 의혹도
■ 국민 53% “노무현 발언, ‘NLL 포기’ 아니다”
■ 강용석 전 의원은 왜 ‘예능인’을 자처하나
■ [화보] 중국 국빈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