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강 자연성 회복구상’ 발표
수질·자연물길 45㎞ 복원에 초점
“한강 르네상스뒤 자연성 더 악화”
인공 호안 뜯고 수중보 개선키로
여의도·탄천 등지엔 한강숲 조성
연말까지 기본계획으로 최종확정 서울시가 올해 한강 여의도와 잠원, 탄천 합류부, 잠실 나들목 주변에 최대 7만그루를 심어 ‘한강 숲’을 조성하기로 했다. 반포 서래섬 일대에는 홍수·침식을 막기 위해 한강 기슭에 둘러친 콘크리트 호안을 철거하고 모래톱(백사장)을 복원된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5400억원을 들여 추진한 대규모 개발형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방향을 크게 바꿔 ‘자연성 회복’을 앞세운 박원순 시장의 한강 복원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20일 이런 내용의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구상’을 발표하고 연말까지 ‘2030 한강 자연성회복 기본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구성한 민·관 위원들로 구성한 한강시민위원회의 김정욱 위원장(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은 “그동안 과도한 개발로 한강 자연성이 거의 사라지고, 인공강의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들어 지속 가능하지 않다. 한강을 보존·회복·이용공간으로 나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45㎞ 남짓에 이르는 한강의 자연물길 복원, 생물서식처 복원, 한강 숲 조성, 역사·경관 복원, 수질 개선 등이 주요 정책이다. 한강시민위는 강의 자연성을 억제하는 6대 장애물로 저수로 형태, 수중보, 인공호안, 둔치공원, 강변북로·올림픽대로, 강변 고밀도 아파트 단지를 꼽았다. 잠실·신곡 수중보를 가동보(수문형 보)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시는 밝혔다. “물길의 연속성과 수생태계의 연결을 단절시키는 주요 원인”(한강시민위)이라는 것이다. 철거해야 한다는 한강시민위원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수중보는 국토해양부가 관리하는 시설물이어서 고정보의 구조개선 방식이나 존폐를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생물서식처-천변습지-한강숲’으로 맞물린 강-둔치의 자연성 복원 사업은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안양천·홍제천·중랑천·탄천 합류부가 생물서식처 및 천변습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인공호안을 뜯고 모래톱을 형성해 자연스레 수변식생대가 조성되도록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지천의 수질이 개선돼야 한강이 복원된다”고 본다. 올해 먼저 착수할 사업으로 여의도 샛강 합류부, 한남대교 하류, 잠실 나들목 주변, 탄천 합류부 4곳에 한강 숲을 만든다. 탄천 합류부에 4만1000그루, 여의도·잠원·잠실 쪽에 3만3000그루를 심는다. 한강르네상스 사업으로 조성된 반포·여의도·잠실공원 등의 시설물, 보행·자전거로 등은 이전하거나 철거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한봉호 서울시립대 교수(조경학)는 “한강르네상스 사업 중 광장이나 과도한 포장 등 자연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정리하고, 당시 추진한 생태계 복원 사업 중 잘 되는 곳은 유지한다. 인공호안의 30%가량은 거둬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강시민위는 지난해 10월 ‘한강 개발사업에 의한 자연성 영향검토’ 보고서를 내 “한강 르네상스는 관 주도 추진과정에서 ‘무늬만 생태 복원’과 ‘둔치시설의 고급화’란 사업 방식으로 일관돼왔다. 결과적으로 한강의 자연성은 더 악화되었다”고 분석한 바 있다. 반포 서래섬(반포대교와 동작대교 남단 사이) 쪽도 올해 생태·경관거점으로 복원된다. 모래톱, 둔치 초목류 조성과 함께 자전거도로 등은 우회시킨다. 올해 시범사업 뒤 난지권역, 여의도권역, 암서권역 등 7곳 후보지 중 추가로 선정해 역사적 가치까지 더한 생태·경관 거점으로 복원한다는 계획이다. 예산과 관련해 이사형 한강사업본부 기획예산과장은 “토목공사를 다시 하는 게 아니다. 기존의 인공호안을 뜯는 비용과 나무 식재비 정도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권미진이 마시고 50kg 뺐다는 ‘해독주스’ 마셔보니…
■ ‘논문표절 의혹’ 김미경 “양심까지 함부로 팔지 않았다”
■ 카톡 답장 9분 안에 없으면 그는 당신에게 관심이 없다
■ 오늘 밤 기온 영하로…내일은 더 쌀쌀해져
■ 법정에 선 한홍구 마지막 진술 화제
“한강 르네상스뒤 자연성 더 악화”
인공 호안 뜯고 수중보 개선키로
여의도·탄천 등지엔 한강숲 조성
연말까지 기본계획으로 최종확정 서울시가 올해 한강 여의도와 잠원, 탄천 합류부, 잠실 나들목 주변에 최대 7만그루를 심어 ‘한강 숲’을 조성하기로 했다. 반포 서래섬 일대에는 홍수·침식을 막기 위해 한강 기슭에 둘러친 콘크리트 호안을 철거하고 모래톱(백사장)을 복원된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5400억원을 들여 추진한 대규모 개발형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방향을 크게 바꿔 ‘자연성 회복’을 앞세운 박원순 시장의 한강 복원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20일 이런 내용의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구상’을 발표하고 연말까지 ‘2030 한강 자연성회복 기본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서울시가 구성한 민·관 위원들로 구성한 한강시민위원회의 김정욱 위원장(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은 “그동안 과도한 개발로 한강 자연성이 거의 사라지고, 인공강의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들어 지속 가능하지 않다. 한강을 보존·회복·이용공간으로 나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45㎞ 남짓에 이르는 한강의 자연물길 복원, 생물서식처 복원, 한강 숲 조성, 역사·경관 복원, 수질 개선 등이 주요 정책이다. 한강시민위는 강의 자연성을 억제하는 6대 장애물로 저수로 형태, 수중보, 인공호안, 둔치공원, 강변북로·올림픽대로, 강변 고밀도 아파트 단지를 꼽았다. 잠실·신곡 수중보를 가동보(수문형 보)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시는 밝혔다. “물길의 연속성과 수생태계의 연결을 단절시키는 주요 원인”(한강시민위)이라는 것이다. 철거해야 한다는 한강시민위원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수중보는 국토해양부가 관리하는 시설물이어서 고정보의 구조개선 방식이나 존폐를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생물서식처-천변습지-한강숲’으로 맞물린 강-둔치의 자연성 복원 사업은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안양천·홍제천·중랑천·탄천 합류부가 생물서식처 및 천변습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인공호안을 뜯고 모래톱을 형성해 자연스레 수변식생대가 조성되도록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지천의 수질이 개선돼야 한강이 복원된다”고 본다. 올해 먼저 착수할 사업으로 여의도 샛강 합류부, 한남대교 하류, 잠실 나들목 주변, 탄천 합류부 4곳에 한강 숲을 만든다. 탄천 합류부에 4만1000그루, 여의도·잠원·잠실 쪽에 3만3000그루를 심는다. 한강르네상스 사업으로 조성된 반포·여의도·잠실공원 등의 시설물, 보행·자전거로 등은 이전하거나 철거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한봉호 서울시립대 교수(조경학)는 “한강르네상스 사업 중 광장이나 과도한 포장 등 자연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정리하고, 당시 추진한 생태계 복원 사업 중 잘 되는 곳은 유지한다. 인공호안의 30%가량은 거둬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강시민위는 지난해 10월 ‘한강 개발사업에 의한 자연성 영향검토’ 보고서를 내 “한강 르네상스는 관 주도 추진과정에서 ‘무늬만 생태 복원’과 ‘둔치시설의 고급화’란 사업 방식으로 일관돼왔다. 결과적으로 한강의 자연성은 더 악화되었다”고 분석한 바 있다. 반포 서래섬(반포대교와 동작대교 남단 사이) 쪽도 올해 생태·경관거점으로 복원된다. 모래톱, 둔치 초목류 조성과 함께 자전거도로 등은 우회시킨다. 올해 시범사업 뒤 난지권역, 여의도권역, 암서권역 등 7곳 후보지 중 추가로 선정해 역사적 가치까지 더한 생태·경관 거점으로 복원한다는 계획이다. 예산과 관련해 이사형 한강사업본부 기획예산과장은 “토목공사를 다시 하는 게 아니다. 기존의 인공호안을 뜯는 비용과 나무 식재비 정도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권미진이 마시고 50kg 뺐다는 ‘해독주스’ 마셔보니…
■ ‘논문표절 의혹’ 김미경 “양심까지 함부로 팔지 않았다”
■ 카톡 답장 9분 안에 없으면 그는 당신에게 관심이 없다
■ 오늘 밤 기온 영하로…내일은 더 쌀쌀해져
■ 법정에 선 한홍구 마지막 진술 화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