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의원 등 땅주인들 나서
“나무값 달라” “지목 바꿔달라”
공사차량 막은채 보상 요구도
서울시·공사업체는 부실 대처
수해 겪었던 주민들 불안 호소
“나무값 달라” “지목 바꿔달라”
공사차량 막은채 보상 요구도
서울시·공사업체는 부실 대처
수해 겪었던 주민들 불안 호소
집중호우 철, 산사태가 발생한 지 1년이 넘었는데도 서울 서초구 우면산의 막바지 배수로 공사가 곳곳에서 차질을 빚고 있다. 일부 땅주인들이 배수로가 지나는 데 따른 보상을 요구하고, 서울시와 공사를 맡는 산림조합중앙회는 부실한 대처로 갈등을 키운 탓이다.
30일 서울시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우면산 1공구’ 내 전원마을(방배동) 쪽 복구사업은 애초 5월말 끝날 계획이었으나, 일대 땅을 소유한 김아무개 서초구의원과의 마찰로 마지막 ‘공정’이 두달째 표류중이다. 지난 4월말 정비를 완료한 산비탈 수로와 마을 하수관 사이에 위치한 김 구의원 부지(너비 30m)만큼을 수개월째 임시 수로(가배수로)에 의지하고 있는 상태다.
공사가 늦춰진 발단은 김 구의원 땅에 있는 대나무였다.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실무자는 “김 구의원의 땅에 인접해 나머지 배수로 확장공사를 할 계획인데, 그 지점에 걸쳐지는 김 의원의 대나무에 대한 보상 요구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수로는 기존의 자연 물길에서 지난해 산사태로 떠내려온 토사 등만 제거된 상태로 있다.
이에 지난 5월 김 구의원과 인근 주민은 인공구조물을 설치하는 배수로 확장공사를 요구했다. 서울시도 장기적 안전을 위해 이 민원을 수용했으나, 김 구의원이 추가로 열 그루 미만의 대나무 값 등을 요구하면서 전혀 진전이 안 되고 있다. 그는 나무 값으로 300만원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공사 기간 대나무를 다른 곳에 심었다가 공사를 마치고 우리가 다시 옮겨줄 수 있는데 직접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직접 보상의 법적 근거가 없고, 다른 복구지역과의 형평성도 안 맞아 곤란하다”고 말했다.
취재가 시작되자 김 구의원과 사업자 사이에 협의가 재개된 상태지만, 김 구의원은 “나무 값은 반드시 상식선에서 보상받겠다”는 주장을 유지하고 있다. 골이 깊다. 그는 “지난 3~4월 공사를 맡은 산림조합중앙회가 ‘1주일이면 공사가 끝난다’며 내 땅을 작업로로 쓰자고 해 허락도 해줬는데 이후 충분한 설명도 없이 공사는 지연됐고, 내 부지 쪽 배수로 공사도 임의로 설계를 변경하겠다고 하는 등 형편없이 일을 진행해왔다”며 “당시 작업로 쪽 나무도 중장비 통행을 위해 옮겨야 했는데, 조합이 이식해주는 대신 돈을 주겠다고 먼저 제안하고서도 아직 안 줬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6월말까지는 더 시급한 공사를 하느라 해당 배수로 공사가 늦어졌다”며 “본격적으로 공사하려는데 김 의원이 먼저 나무 값을 요구하면서 지연된 상태로, 공사 시작만 하면 사흘 안에 끝난다”고 말했다.
공사 중단이 이곳에만 있진 않다. 1공구 내 또다른 땅주인은 부지에 배수로가 지나는 대신, 지목을 임야에서 밭으로 변경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배수로 공사에 대한 보상 요구를 시가 거부하자 공사 차량의 진입을 아예 막은 상태”라고 말했다.
한 지역주민은 “일부 땅주인들이 주민들의 안전을 담보로 지나친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태풍과 집중호우가 잦은 8월로 접어드는데 정말 불안하고 화가 치민다”고 말했다.
임인택 박기용 기자 imi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학교지킴이’가 되레 초등생 성추행
■ 재벌 회장님들, 올림픽에 우르르 달려간 이유는
■ 다운로드만 해도 처벌…아동 음란물 집중단속
■ 불황에도…90만원짜리 청소기 45분만에 매진
■ [화보] 세계 최강 주몽의 후예들
■ ‘학교지킴이’가 되레 초등생 성추행
■ 재벌 회장님들, 올림픽에 우르르 달려간 이유는
■ 다운로드만 해도 처벌…아동 음란물 집중단속
■ 불황에도…90만원짜리 청소기 45분만에 매진
■ [화보] 세계 최강 주몽의 후예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