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뇌부 왜 이러는지…”
수사권 조정 악재 예상
수사권 조정 악재 예상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누리집 디도스 공격을 수사한 경찰의 석연찮은 태도를 두고 경찰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경찰 수사가 의혹을 밝히는 것보단 덮는 데 급급하다는 인상을 주면서, 경찰에 대한 신뢰가 곤두박질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검·경 수사권 조정이 논의되는 국면에서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경찰 스스로 놓쳤다는 한탄이 나온다.
이름을 밝히길 꺼린 서울시내 경찰서 한 간부는 “디도스 공격의 배후를 밝히는 게 초미의 관심사인데, 사건 전후로 금전거래가 있었다면 사실대로 언론에 밝히고 앞으로 보완수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했어야 했다”며 “수뇌부가 경찰 수사에 대해 신뢰성을 의심받을 만한 상황을 만들어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또다른 경찰서 간부도 “사건의 맥을 짚어서 세심하고 명확하게 브리핑을 했어야 했다”며 “수사권 조정이 논의되는 중차대한 시점에서 수뇌부가 왜 이런 모습을 보이는지 모르겠다”고 답답해했다. 수사 당시 여러가지 정황을 종합해 금전거래를 대가성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심증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이 사실을 언론에 밝혀 의혹을 최소화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경찰이 적극적인 수사 의지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시내 경찰서 한 간부는 “시간이 부족해 깊이 있는 수사가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그러나 수사력을 보강해 진술에만 의존하지 않고 주변 관계인을 조사한 뒤 사건 전말을 명확하게 밝혔다면, 지금처럼 수세에 몰리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다른 경찰관은 “수사기록에 금전거래 사실을 누락시킨 건 아니었기 때문에, 검찰에 송치되면 어차피 새어나갈 이야기였다”며 “안이하게 대처한 게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청은 15일 독자적인 수사권 역량을 강화하겠다며, 본청 수사국에 경무관급 수사기획관을 만들고 범죄정보과를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조직개편안을 내놨다.
박현정 김지훈 이충신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