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9일 오후, 서울 구로구 서울조선족교회 안에 마련된 쉼터에서 한국에 체류중인 조선족 여성들이 담소를 나누고 있다. 거울에 비친 그들의 뒤에 각자의 옷가지가 들어 있는 여행가방과 보퉁이들이 보인다. 사진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조선족 대이주 100년 〈1부〉뿌리] ③ 잃어버린 청춘
한국의 봄은 낯설었다. 19평 비닐움막 안에서 봄볕은 투명하지 않고 탁했다. 5월의 대기는 아침저녁으로 차갑게 식어 비닐의 틈을 끈질기게 파고들었다. 움막 안에 보일러를 들였지만 박순임(가명·35)씨의 하루하루는 스산했다. 합판으로 방을 나눈 움막 안에서 시어머니는 며느리 몰래 밥과 과일을 혼자 챙겨 먹었다.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건넨 것은 통장과 카드였다. 남편에겐 딱히 정해진 직업이 없었다. 가끔 공사판을 나갔다. 남편은 신용카드 서너장을 돌려막고 있었다. 검은 마그네틱에는 수백만원의 채무가 디지털의 기록으로 새겨져 있었다. 조선족 며느리가 갚아야 할 빚이었다. 박씨의 신혼은 애틋하지 않고 삭막했다. 중국 흑룡강성 시골 마을에 사는 박씨의 부모는 그런 사정을 짐작하지 못했다. 애초부터 사위의 됨됨이를 따진 것이 아니었다. 한국에 가야 하는 외동딸의 궁벽한 처지를 늙은 부모는 어쩌지 못했다. 눈웃음이 예쁜 외동딸 박씨는 한족 고중(고등학교)을 졸업했다. 한국인이 운영하는 회사에 취직하여 한달에 3000위안(약 54만원)을 받았다. 착실히 돈 버느라 청춘이 가도록 애인이 없었다. 청춘 바쳐 번 돈으로 길림성 연길시에 구멍가게를 냈다. 담배·사탕·과자·술을 팔았다. 담배가게 아가씨는 근처 공사장 인부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연탄아궁이에서 요리를 하여 도시락도 배달했다. 돈을 아끼느라 가게에서 먹고 잤다. 창과 문을 꽁꽁 여미고 누운 자리에서 박씨는 꿈을 꾸었다. 작지만 번듯한 식당을 차려 그 주인이 되는 꿈이었다. 어느 겨울밤, 꿈은 가리가리 찢겼다. 가게 안에 연탄가스가 번졌다. 거품 물고 쓰러진 박씨를 이웃이 발견했다. 목숨은 건졌으나, 근육에 마비가 왔고 피부에 검은 반점이 솟았다. 어머니는 솔잎 가루를 딸에게 먹였다. 반년 뒤 기운을 차렸지만, 사는 일은 죽는 일보다 힘들었다. 병원비를 갚아야 했다. 중국에선 목돈을 만들 수 없었다. 유일한 출구는 바다 건너를 향해 있었다. 바다를 건너려면 한국인과 결혼해야 했다. 고모할머니의 소개로 한국 남자를 만났다. “첫인상은 그저 그랬어요.” 남자로 보이진 않았다. 그러나 한국인이었다. 그것으로 족했다. (관련설명 가기 * ) 한국 들어온 지 한달 만에 박씨는 가구공장에 취직했다. 가구 옮기는 일이 힘에 부쳐 동네 식당으로 일자리를 옮겼다. 남편을 따라 공사판에 나가 청소도 하고 못질도 했다. 나중엔 가정부 노릇도 했다. 혼자 사는 주인 여자는 토끼를 키웠다. “원래 두 마리였는데 한 마리가 죽었어요. 잘 돌봐주세요.” 서울 소재 어느 대학 음대 교수였다. 외로운 토끼는 넓은 집을 마음대로 뛰어다니며 비싼 가구를 갉아먹었다. 교양 있는 여교수는 그런 토끼를 끔찍이 아꼈다. 박씨는 토끼 뒤를 따라다니며 먹이고 살폈다. 하루 5만원을 받았다. (관련설명 가기 ** ) 토끼처럼 외로웠던 박씨는 마음대로 다니지 못했다. 남편은 매일 술에 취해 일 나간 박씨에게 전화를 걸었다. “어서 들어와.” 그 말만 하고 끊었다. 전화는 계속 이어졌다. 비닐움막에 철거 통지서가 날아오고, 반년 동안 모은 돈으로 월세방을 구하고, 날품팔아 번 돈으로 카드빚 수백만원을 갚아도 술에 찌든 남편의 전화는 그치지 않았다. 그 결혼을 통해 남편이 박씨에게 도움을 준 것은 딱 하나였다. 남편의 초청으로 중국에 있던 부모님이 한국에 일하러 나왔다. 큰 도움은 되지 못했다. 아버지는 몸을 다치고, 어머니도 가정부 일을 힘겨워했다. 나이든 친정 부모는 이내 중국으로 돌아갔다. (관련설명 가기 *** ) 서류에 기초한 결혼은 내부에서 무너졌다. 결혼 3년 만에 박씨는 월세방을 뛰쳐나왔다. 남편은 보복했다. 집 나간 박씨의 주민등록을 말소시켰다. 박씨는 잠들지 못했다. 20일 동안 못 잔 일도 있었다. 우여곡절 끝에 이혼했다. 우울증을 이기려고 친구들과 술도 마셨다. 뜻하지 않게 임신을 헀다. 혼자 중국 친정으로 돌아가 몸을 풀었다. 딸이었다. 결혼한 사촌오빠의 호적에 딸의 이름을 올렸다. 박씨는 다섯달 동안 딸에게 젖을 물렸다. 딸을 위해 돈이 필요했다. 다시 한번 출구는 한국에 있었다. 앙앙 우는 딸을 친정 부모에게 맡기고, 한국에 들어와 식당일을 시작했다. (관련설명 가기 **** ) 박씨의 삶은 낭만이 아니라 서류에 기초했다. 바로잡아야 할 서류가 많았다. 주민등록을 되찾고 한국 국적을 얻고 이혼소송을 끝내고 중국에 있는 딸을 한국에 데려와야 했다. 무료 법률상담소를 찾아다녔다. 서류는 마지막 단계에서 말썽을 부리고 있다. 중국 국적 사촌오빠 호적에 오른 딸을 한국 국적 박씨 호적으로 옮기는 일이 풀리지 않고 있다. 발을 동동 구르는 박씨에게 어느 변호사가 말했다. “그러게 좀 착하게 살지.” 지난 10년 동안 착하지 않게 살았던 순간이 언제인지 박씨는 알지 못한다. 박씨는 서울 강북 어느 부촌에서 월급 200만원짜리 입주 가정부 생활을 하고 있다. “그래도 이젠 많이 안정됐어요.” 작은 월세방을 구했고, 술 마시는 남편도 사라졌다. 중국에 있는 딸만 데려오면 된다. “한국 학교에 보내 하고픈 일 하면서 행복하게 잘살게 해주고 싶어요.” (관련설명 가기 ***** ) 살뜰한 연애 한번 못해본 박씨는 재혼할 생각이 없다. 얼마 전부터 생리가 없어졌다. “갱년기가 일찍 왔군요.” 찾아간 병원에서 의사가 말해주었다. 35살에 박씨는 폐경을 맞이했다. “신앙에 많이 의지하고 있어요.” 박씨는 유일한 휴일인 일요일마다 서울 조선족교회에 나가 찬송한다. 조선족 출신 한국인 박순임씨에겐 죽어 천국 가는 복음만이 위안을 준다. 안수찬 기자, 이상원(경북대 경영학부)·안세희(세명대 저널리즘스쿨) 인턴기자
ahn@hani.co.kr ※ 4회 ‘성공과 실패’에서 한국 조선족의 빈부격차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 1980년대 중반부터 한국 거주 친척의 초청을 받은 조선족들이 입국했다. 친척 방문 명목이었으나 장기불법체류하는 사례가 많았다. 한-중 수교 직후인 1993년, 2년 동안 취업할 수 있는 ‘산업연수생 제도’가 실시되면서 조선족들이 대거 입국했다. 장기불법체류하는 조선족도 급증했다. 자격을 얻지 못한 조선족 여성들은 한국인과 결혼해 입국하는 방식을 선호했다. 2004년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제, 2007년 방문취업제 등의 실시로 폐단이 줄었으나, 장기체류 자격 대상을 확대해 달라는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 장기체류를 원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월 80만~150만원의 임금으로는 애초 목적했던 목돈을 벌 수가 없다. 적어도 5년 동안 한국 극빈층의 생활을 감내하며 월 50만원 이상 저축해야 수천만원의 돈을 모을 수 있다.
** 중국에선 고중(고등학교)만 졸업하면 전문직으로 일하지만, 한국에선 소용이 없다. 일용잡부 외에는 할 일이 없다. 중국에서 공무원이었던 주현식(가명·48·한국체류 4개월)씨는 식당·부품공장을 거쳐 건설현장에 나가고 있다. 중국에서 기능공이었던 이기식(가명·45·한국체류 9년)씨는 드라마 엑스트라·전선배설공·건설일용직·농장잡부 등으로 일했다. 중국에서 교사였던 조현순(가명·54·한국체류 13년)씨는 10년 동안 식당 서빙만 했다. 남편이 대학교수였던 박신자(가명·65·한국체류 3년)씨는 식당보조·가정부·청소부·간병인 등으로 일했다.
*** 조선족의 이주는 ‘눈덩이 굴리기’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 사람이 한국에 들어와 기반을 마련하면 가족·친척이 한꺼번에 입국한다. 한국인과 결혼한 조선족이 결정적 구실을 한다. 국적 취득 전에라도 한국인 배우자를 통해 가족·친척을 ‘초청 입국’시킬 수 있다. 주현식(가명·48)씨는 1991년 위장결혼을 통해 한국 국적을 얻은 어머니의 초청으로 입국했다. 그의 아내, 남동생, 여동생 모두 같은 방식으로 들어왔다. 김인식(가명·50·한국체류 6개월)씨는 안산공단에서 일하는 처조카 초청으로 아내와 함께 입국했다. 사돈 내외도 한국에서 일하고 있다. 처조카 소개로 김씨는 공장에서 일하고, 김씨 아내는 안사돈의 소개로 식당 주방에서 일한다.
**** 부부 모두 한국에 오면 중국에 있는 자녀 교육에 문제가 생긴다. 자녀 교육을 위해 어느 한쪽만 한국에 오면 부부관계에 문제가 생긴다. 한국 체류 조선족 상당수가 남녀관계에서 비롯한 가족 해체와 재구성을 겪고 있다. 김재용(가명·54·한국체류 5년)씨는 중국에 있던 아내와 7년 전 이혼하고, 한국 국적의 조선족 여성과 재혼했다. 상대 역시 재혼이었다. 이혼한 아내는 최근 한국에 나와 일하고 있다. 지현수(가명·50·한국체류 3년)씨도 아내와 이혼하고 혼자 지낸다. 아내는 한국인과 재혼했다. 한건희(가명·52·한국체류 4개월)씨의 아내는 20년 전 한국에 왔다가 다시 미국으로 떠났다. “사실상 이혼 상태”라고 한씨는 말했다. 김연희(가명·57·한국체류 10년)씨는 입국 이후 중국에 있는 남편과 연락이 끊겼다. 이혼은 안 했지만 “소식을 전혀 모른다”고 김씨는 말했다. 쉼터에서 만난 조선족들은 “외롭다”는 말을 자주 했다. 같은 문화를 공유하는 조선족 이성과 만나는 일은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이들에게 유일한 안식이다.
***** 출입국 통계를 보면, 2011년 6월 현재 한국에 체류중인 조선족은 45만7000여명(불법체류자 1만9000여명 포함)이다. 2010년 말까지 한국에 귀화한 조선족은 7만7000여명이다. 적어도 50만여명(귀화자 포함)의 조선족이 한국에 있다. 한국 인구(5050만여명)의 1% 규모고, 중국 조선족 인구(190만여명)의 20%가 넘는다. 지난 10년 동안 조선족의 한국 입국은 꾸준히 증가했다. 90일 이상 장기체류하는 ‘등록외국인’ 기준으로 보면, 2001년 4만3000명에서 2010년 36만6000명으로 10배 가까이 늘었다. [관련기사] ▷ 서울조선족교회 쉼터에 있는 여성들에게 듣는 ‘조선족 약사’
연재한겨레 in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