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호텔 이부진 “한복 입장 막아 죄송”
신라호텔이 한복을 입은 손님의 입장을 막아 비난을 샀다. 이에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이사가 직접 당사자를 찾아 사과했다.
유명 한복 디자이너인 이혜순씨는 12일 저녁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 1층 뷔페 레스토랑 ‘파크뷰’를 찾았다가 황당한 경험을 했다. 한복을 입었다는 이유로 입장을 제지당한 것이다. 식당 직원은 “식당의 드레스 코드가 있다”며 “한복과 츄리닝은 출입이 안 된다”고 막아섰다.
이씨는 영화 <스캔들>과 <쌍화점>의 의상을 디자인한 한국의 대표적인 한복 디자이너 가운데 한 명이다. 그는 평상시에도 한복을 입는 생활을 20년 가량 해오고 있다.
이씨는 지배인과 만나 이야기를 나눴지만 그의 설명은 오히려 분통 터지게 했다고 한다. 식당과 호텔의 당직 지배인이 내놓은 이유는 “위험하다”는 것이었다. 호텔 쪽은 “치마가 퍼져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해명했다. 그리고 “이번은 입장을 허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씨는 13일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전통복식을 홀대하는 낮은 문화의식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어떻게 자기 나라의 민족복식을 입고 못 들어가는 호텔을 만들 수 있나. 다른 나라에 알려질까봐 겁난다”고 말했다. 그는 “한복이 철사로 만든 옷이냐”고 반문한 뒤, “한복은 누르면 누르는대로 들어가는 옷”이라며 호텔 쪽의 해명이 말이 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그는 “대화중에 정체성 이야기가 나와서 ‘신라 호텔의 정체성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니 ‘신라’라는 정체성이 있다는 답이 돌아오더라”며 “더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고 느껴 ‘뼈대가 없는 신라군요’라고 쏘아붙이고 나왔다”고 말했다.
이런 사실이 트위터 등을 통해 알려지자 많은 누리꾼들이 호텔을 비판하고 나섰다. ‘신라호텔 한복 안되면 정문의 기왓장은 다 철거해야 밸런스가 맞지 않은가’, ‘그럴 거면 왜 이름을 신라호텔로 정했냐, 촉나라호텔이나 당나라호텔로 하지’ 등 다양한 트윗이 쏟아졌다. 개그맨 이병진씨는 “신라호텔에서 한복 입고 정모하자”고 제안했다.
누리꾼의 비판 여론이 거세던 13일 오전 이부진 대표이사는 서울 청담동에 위치한 이씨의 한복 매장 ‘담연’을 찾았다. 이씨는 “이 대표가 직접 찾아와 호텔의 처사에 대해 진심어린 사과를 해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신라호텔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정중히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2일날 있었던 일과 관련해선 “입장 거부가 아니라 안내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신라호텔 홍보팀 관계자는 “다른 고객이 한복을 착용한 고객의 옷에 걸려 넘어지거나, 한복을 입은 고객이 다른 고객에게 옷이 밟히는 등으로 인해 불만사항이 있었다”며 “조심해달라는 당부의 안내를 한 것이 직원의 착오로 와전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씨는 “누구의 사과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 한복을 입고 들어갈 수 없는 곳이 존재한다는 것, 그것에 대해 항의해야 하는 현실 자체가 문제”라며 “우리 문화의 수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오성 김은형 기자 sage5th@hani.co.kr
신라호텔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 “정중히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2일날 있었던 일과 관련해선 “입장 거부가 아니라 안내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신라호텔 홍보팀 관계자는 “다른 고객이 한복을 착용한 고객의 옷에 걸려 넘어지거나, 한복을 입은 고객이 다른 고객에게 옷이 밟히는 등으로 인해 불만사항이 있었다”며 “조심해달라는 당부의 안내를 한 것이 직원의 착오로 와전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씨는 “누구의 사과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 한복을 입고 들어갈 수 없는 곳이 존재한다는 것, 그것에 대해 항의해야 하는 현실 자체가 문제”라며 “우리 문화의 수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오성 김은형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